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사명대사[역대삼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유정(1544-1610) 속명 임응규. 임진왜란에 조정의 근왕문(勤王文)과 스승 휴정의 격문을 받고 의승도대장(義僧都大將) 평양성 탈환. 1604년 8월 일본에서 3,000 여명의 동포를 데리고 귀국하였다.

사명영각(四溟影閣)[금강산유람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명당 유정(四溟堂 惟政, 1544~1610)의 초상(肖像)을 모신 곳. 유정은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僧兵將).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사명절(四名節)[자탄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대명절로.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을 말함.

사명절(四名節)[여자석별가 1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의 사대 명절. 설, 단오, 추석, 동지를 말함.

사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2 페이지 / 전적]

네 마리 숫말이라는 뜻으로서「시경」소아(小雅)의 편명이기도 한데, 왕명을 봉행하는 사신을 위로한 시이다.

사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3 페이지 / 전적]

네 마리 숫말이라는 뜻으로서「시경」소아(小雅)의 편명이기도 한데, 왕명을 봉행하는 사신을 위로한 시이다.

사모(四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四牡」-네마리 숫말인데 使臣을 보내는 詩의 篇名이기도 함。小雅 四牡에 「四牡騑騑 周道倭遲」라는 句가 있음

사모(思慕)[유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러러 받들며 마음속 깊이 따름.

사모(紗帽)[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고려 말부터 조선 말기에 걸쳐 문무관이 상복(常服)에 착용하던 모자. 검은 사(紗)로 만들며, 뒤에 뿔이 2개 있음. 앞에 든 가사의 원문에서 ‘紗冒’라 한 표기는 ‘紗帽’의 착오로 보임

사모(紗帽)[석천집(石川集二-四)2-4 91 페이지 / 전적]

朝鮮時代 官吏들이 쓰던 검은 천으로 만든 모자.

사모(紗帽)뿔[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紗帽)의 뒤에 좌우로 뻗어 나온 잠자리 날개 같은 모양의 검은 뿔.

사모각대[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사모관대(紗帽冠帶).

사모각대[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사모관대(紗帽冠帶).

사모관대[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 서 착용함.

사모관대[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 서 착용함.

사모관대(紗帽冠帶)[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음.

사모관대(紗帽冠帶)[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음.

사모관대(紗帽冠帶)[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모와 관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본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한다.

사모관대(紗帽冠帶)[자치가라 23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 쓰는 검은 사로 만든 모자와 벼슬아치들의 정복을 아울러 이르던 말.

사모관대(紗帽冠帶)[동국조선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 쓰는 검은 사로 만든 모자와 벼슬아치들의 정복을 아울러 이르던 말인데, 여기서는 혼례를 치룰 때의 신랑 복장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