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경화(瓊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2 페이지 / 전적]

「瓊華」- 고드름을 말함.

경화물색(京華物色)[운청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서울의 번화한 모양색.

경화요초(瓊花瑤草)[쟝한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경화(瓊花)는 직녀성(織女星)의 꽃을 말하고, 요초(瑤草)는 북두성(北斗星)의 풀을 말함.

경환(輕患)[신힁가라 23 페이지 / 전적]

가벼운 질환.

경황(景況)없는[삼팔가(三八歌) 13 페이지 / 전적]

몹시 괴롭거나 바쁘거나 하여 다른 일을 생각할 겨를이나 흥미가 전혀 없는.

경황(驚惶)[환무자탄가 30 페이지 / 전적]

놀라고 당황하여 허둥지둥함.

경황(驚惶)[소상팔경가 9 페이지 / 전적]

놀라고 두려워 허둥지둥함.

경황실색(驚惶失色)[안심가 5 페이지 / 전적]

놀라 당황하여 얼굴빛이 변함.

경황실색(驚惶失色)[자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놀라고 두려워 얼굴색이 달라짐.

경황실색(驚惶失色)[잣치가라(치라) 17 페이지 / 전적]

놀라고 두려워 얼굴색이 달라짐.

경회루(慶會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 서쪽 연못 안에 있는 누각이다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하던 곳으로, 조선 태종 12년(1412)에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에 불타 버렸으나 조선 고종 4년(1867)에 재건하였다.

경회루(慶會樓)[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경복궁에 있는 조선 후기의 누각으로 왕이 사연장(賜宴場)으로 쓰던 곳.

경흥[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함경북도 북부, 6진의 하나

계(啓)[녁대가(녁가) 14 페이지 / 전적]

우임금의 아들로 우임금이 죽자 제후(諸侯)의 추대로 하나라 2대왕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천자자리를 세습화하여 하왕조가 시작되었음.

계(契)[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종래부터 전해오던 민간 협동단체.

계견(鷄犬)[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닭과 개

계견(鷄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8 페이지 / 전적]

「鷄犬覺尋」― 孟子 告子篇에 「人有鷄犬放則知求之 有放心而不知求」라는 대문이 있음

계견(鷄犬)[가사소리 18 페이지 / 전적]

닭과 개.

계계승승(繼繼承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6 페이지 / 전적]

자자손손이 대를 이어 감.

계계승승(繼繼承承)[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자자손손이 대를 이어감. 앞사람이 하던 일을 뒷사람이 내리 이어받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