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고반(考槃)[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어진이가 그곳에 반환(盤桓) 한다는 뜻. 詩經 衛風에 「考槃在澗碩人之寛」

고반(考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0 페이지 / 전적]

「考槃」― 詩經 衛風 考槃을 말함. 위에 나타나 있음.

고반(考盤)[석천집(石川集二-四)2-4 112 페이지 / 전적]

賢者가 隱居하면서 지은 노래.

고반가(考槃歌)[석촌별곡 9 페이지 / 전적]

고반. 『시경』위풍의 편명으로, 은자 삶의 즐거움을노래하였다.

고반장(考槃章)[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방 하기[효봉구고치산가 20 페이지 / 전적]

뜻을 알 수 없으나, ‘고방(庫房) 탓하기’로 풀이할 수 있을 것 같음.

고방(孤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8 페이지 / 전적]

「衆草穢孤芳」― 믓 小人들의 讒言에 비한 것임.

고방(庫房)[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창고.

고방(庫房)[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광’의 원말.

고방(庫房)[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광’의 원말.

고방(庫房)[나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살이 넣어 둔 방.

고배(高排)[장씨부인역사라 11 페이지 / 전적]

실과나 음식 같은 것을 그릇에 높이 굄.

고배(高排)[장씨부인역사라 11 페이지 / 전적]

실과나 음식 같은 것을 그릇에 높이 굄.

고배(高排)[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그릇에 높이 괴어 담음.

고배례[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과 신부가 맞절 하는 것.

고백행(古柏行)[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두보가 촉한(蜀漢)의 고국에 다니러 가서 제갈공명(諸葛孔明)의 묘(廟)에 참례할 때 묘 앞에 우뚝 선 고백(늙은 측백나무)을 바라보고 감회에 젖어 고백행을 읊음. 재목이 너무 크면 용재(用材)되기 어렵다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읊은 시.

고백행(古柏行)[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두보가 촉한(蜀漢)의 고국에 다니러 가서 제갈공명(諸葛孔明)의 묘(廟)에 참례할 때 묘 앞에 우뚝 선 고백(늙은 측백나무)을 바라보고 감회에 젖어 고백행을 읊음. 재목이 너무 크면 용재(用材)되기 어렵다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읊은 시.

고백행(古柏行)[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두보가 촉한(蜀漢)의 고국에 다니러 가서 제갈공명(諸葛孔明)의 묘(廟)에 참례할 때 묘 앞에 우뚝 선 고백(늙은 측백나무)을 바라보고 감회에 젖어 고백행을 읊음. 재목이 너무 크면 용재(用材)되기 어렵다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읊은 시.

고법(古法)[경영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옛날부터 전해 오는 법이나 법칙.

고법(古法)[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옛날부터 전해오는 법이나 법칙.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