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고신씨(高辛氏)[역대가라(역가라) 4 페이지 / 전적]

옛날 전설 속의 제왕(帝王). 황제의 증손자로 이름은 곡(嚳)이다. 처음에 신(辛) 땅에 봉(封)해졌다가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고신씨(高辛氏)라고 불렸다.

고신씨(高辛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오제(五帝) 중 한 명이며 ‘제곡 고신(帝喾 高辛)’으로 불림. ‘전욱 고양(顓頊 高陽)’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름.

고신씨(高辛氏)[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오제(五帝) 중 한 명이며 ‘제곡 고신(帝喾 高辛)’으로 불림. ‘전욱 고양(顓頊 高陽)’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름.

고신씨(高辛氏)[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제곡고신씨(帝喾高辛氏)는 황제의 장남 현효의 후손으로 성이 희(姬), 호는 고신씨(高辛氏)이다.전설에 의하면 150세까지 살았으며 70년간 재위하였다고 한다.

고신척영벽산중(孤身隻影碧山中)[한양가라 28 페이지 / 전적]

깊은 산속 외로운 신세 처량하네

고심혈성(苦心血誠)[명륜가(明倫歌) 49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하는 지극한 정성.

고안면 고[형제붕우소회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그 안면 삼삼하고. 그 얼굴 눈에 어리고.

고안첨시(孤雁瞻視)[환무자탄가 36 페이지 / 전적]

짝잃은 기러기가 이리저리 둘러봄.

고알(告訐)[송강집(松江集三)3 69 페이지 / 전적]

사람의 죄를 음사(陰私)로 적발하는 것.

고알(告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8 페이지 / 전적]

「相訐」- 論語 陽貨篇에「惡訐以爲直者」라 하였고 註에「訐은남의 陰私를 攻發하는 것을 이름이라」하였음.

고압(高壓)[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큰 압력. 높은 데서 누름.

고애자(孤哀子)[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7 페이지 / 전적]

부모를 모두 여읜 사람이 상중(喪中)에 스스로를 이르는 말.

고애자(孤哀子)[자경별곡 9 페이지 / 전적]

부모를 모두 여읜 사람이 상중(喪中)에 스스로를 이르는 말.

고애자(孤哀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9 페이지 / 전적]

「孤哀子」-喪禮에 「父母皆故 則稱孤哀子」라 하였는데, 服中에 쓰는 말로 다만 父喪일 경우에는 孤子라 稱하고 母喪일 경우에는 哀子라 稱함。

고애자(孤哀子)[ 1 페이지 / ]

부모를 모두 여읜 사람이 상중(喪中)에 스스로를 이르는 말.

고애자(孤哀子)[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6 페이지 / 전적]

부모를 모두 여읜 사람이 상중(喪中)에 스스로를 이르는 말.

고약(孤弱)[대비훈민가 12 페이지 / 전적]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 외롭고도 힘이 약(弱)함.

고양[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0 페이지 / 전적]

무덤 가에 심는 나무로 백양목(白楊木)임.

고양(高陽)[한양가라 5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고양시.

고양산수 명승지에 판관공의 유택이라[자탄가 자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판관공은 홍주판관(洪州判官)을 지낸 8세조 박병균(朴秉鈞)을 말함. 판관공의 산소는 1982년까지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에 있었으나 고양시 도시계획 관계로 묘소를 안동시 와룡면 태리로 이전하였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