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광한전(廣寒殿)[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항하(姮娥)가 사는 전각(殿閣). 광한궁(廣寒宮). 광한부(廣寒府)라고도 함.

광한전(廣寒殿)[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7 페이지 / 전적]

달 속에 있다는, 항아(姮娥)가 사는 가상의 궁전.

광한전(廣寒殿)[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달 속에 있다는 상상 속의 궁전으로 선녀 항아(姮娥)가 산다.

광한전(廣寒殿)[칠석가 5 페이지 / 전적]

달 속에 항아(姮娥)가 사는 가상의 궁전.

광해군(光海君)[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5대 왕(1575~1641)으로 이름은 혼(琿). 서적 편찬, 사고 정리 등 내치에 힘쓰고 명과 후금 두 나라에 대한 양단(兩 端) 정책으로 난국에 대처하였다. 당쟁에 휩쓸려 임해군과 영창 대군을 죽이고 인목 대비를 유폐하였으며, 뒤에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1608~1623년이다.

광형[석천집(石川集二-二)2-2 248 페이지 / 전적]

한나라 사람인데 여러 경전의 뜻에 능통했으며, 특히 시를 잘 설명했다.

광화문(光化門)[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경복궁 남쪽에 있는 정문으로 1395년 경복궁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9년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을 때 세웠다. 처음에는 사정문(四政門)으로 불렀으나 1425년(세종 7) 집현전에서 광화문으로 바꾸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865년에 재건했다. 광화문이라는 뜻은

광화문(光化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정문. 조선 태조 4년(1395)에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고종 2년(1865)에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지금의 것은 1968년에 복원된 것이다.

광활(廣闊)[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다.

광활(廣闊)[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음.

광활(廣闊)[화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다.

광활(廣闊)[화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다.

광활(廣闊)[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음.

광활(廣闊)[신힁가라 2 페이지 / 전적]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음.

광활(廣闊)[옥산가라 47 페이지 / 전적]

막힌 데가 없이 트이고 넓음.

광희(光熙)[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광희문(光熙門).

광희(光熙)[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광희문(光熙門).

광희(光熙)[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광희문(光熙門).

괘겸(掛鎌)[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낫을 걸어둠.

괘범시(掛帆時)[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3 페이지 / 두루마리]

돛을 달 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