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항전(慈航全)
- 작자 :
- 미상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단행본
이 자료는 충남대학교에 소장된 미 해제 자료로
"人蔘味甘大補元氣止渴生津調榮飬衛 심肺中實熱幷陰虛火動勞嗽吐血勿用肺
"慈航全에 수록된 국한문혼용 자료이다.
|
잡기장통장(雜記帳通帳)
- 작자 :
- 미상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단행본
이 자료는 한국가사문학관에 소장된 미 해제 자료로 "맛나스니 이별은 자연이 잇고 갈임의 각은 저졀노 나구나" 잡기장통장(雜記帳通帳)에 수록된 한문 자료이다.
|
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 작자 :
- 미상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단행본
이 자료는 한국 가사문학관에 소장된 미 해제 자료로 “遠不期忘而忘自至久不期懈而懈自生遠而能不忘久而能 不懈者非常情所可及也吾黨有謹飭士曰邊兄鍾柝以淵城” 장연변씨세적 에 수록된 국한문 자료이다.
|
정유파보별부록(丁酉派譜別附錄)
- 작자 :
- 미상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단행본
정유파보별부록은 “정유파보별부록서, 중건시추감박이수, 노인시를 을펏난대, 여자훈가, 효행가라, 우농기” 등으로 구성된 고문서이다.
|
제가집 초(諸家集 抄)
- 작자 :
- 미상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단행본
제가집 초는 “오봉정사기임경당초사, 사촌장선생집초출명경세, 퇴계이선생소작” 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육곡(前六曲)외 2편의 가사를 포함한 고문서이다.
|
제봉집(霽峰集)
- 작자 :
- 고경명
- 구분 :
- 집정보 :
-
포충사의 제봉집 원집의 복사본 소유목판본. 5권 5책. 1614년(광해군 6)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아들 효증(孝曾)이 간행하고, 1630년(인조 8) 조찬한(趙纘韓)이 그의 문집과 <논사록(論思錄)>을 합간(合刊)하였다. 내용은 시·표(表)·소(疏)·사(辭)·기(記)·문(文)·명(銘)·서(序)·행장(行狀)·발(跋) 등을 수록하고, 부록으로 논사록 상·하 2권을 실었다. 책머리에 판서 장유(張維)와 장현광(張顯光)의 서문이 있고, 부록 끝에 조찬한·기세훈(奇世勳)의 발문이 있다.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高用厚)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던 1617년에 제작하였다.
|
제봉집(霽峰集四)4
- 작자 :
- 고경명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제봉집(霽峰集)
포충사의 제봉집 원집의 복사본 소유
목판본. 5권 5책. 1614년(광해군 6)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아들 효증(孝曾)이 간행하고, 1630년(인조 8) 조찬한(趙纘韓)이 그의 문집과 <논사록(論思錄)>을 합간(合刊)하였다. 내용은 시·표(表)·소(疏)·사(辭)·기(記)·문(文)·명(銘)·서(序)·행장(行狀)·발(跋) 등을 수록하고, 부록으로 논사록 상·하 2권을 실었다. 책머리에 판서 장유(張維)와 장현광(張顯光)의 서문이 있고, 부록 끝에 조찬한·기세훈(奇世勳)의 발문이 있다.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高用厚)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던 1617년에 제작하였다.
|
제봉집(霽峰集三)3
- 작자 :
- 고경명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제봉집(霽峰集)
포충사의 제봉집 원집의 복사본 소유
목판본. 5권 5책. 1614년(광해군 6)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아들 효증(孝曾)이 간행하고, 1630년(인조 8) 조찬한(趙纘韓)이 그의 문집과 <논사록(論思錄)>을 합간(合刊)하였다. 내용은 시·표(表)·소(疏)·사(辭)·기(記)·문(文)·명(銘)·서(序)·행장(行狀)·발(跋) 등을 수록하고, 부록으로 논사록 상·하 2권을 실었다. 책머리에 판서 장유(張維)와 장현광(張顯光)의 서문이 있고, 부록 끝에 조찬한·기세훈(奇世勳)의 발문이 있다.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高用厚)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던 1617년에 제작하였다.
|
제봉집(霽峰集五)5
- 작자 :
- 고경명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제봉집(霽峰集)
포충사의 제봉집 원집의 복사본 소유
목판본. 5권 5책. 1614년(광해군 6)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아들 효증(孝曾)이 간행하고, 1630년(인조 8) 조찬한(趙纘韓)이 그의 문집과 <논사록(論思錄)>을 합간(合刊)하였다. 내용은 시·표(表)·소(疏)·사(辭)·기(記)·문(文)·명(銘)·서(序)·행장(行狀)·발(跋) 등을 수록하고, 부록으로 논사록 상·하 2권을 실었다. 책머리에 판서 장유(張維)와 장현광(張顯光)의 서문이 있고, 부록 끝에 조찬한·기세훈(奇世勳)의 발문이 있다.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高用厚)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던 1617년에 제작하였다.
|
제봉집(霽峰集六)6
- 작자 :
- 고경명
- 구분 :
- 전적
- 집정보 :
- 제봉집(霽峰集)
포충사의 제봉집 원집의 복사본 소유
목판본. 5권 5책. 1614년(광해군 6)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아들 효증(孝曾)이 간행하고, 1630년(인조 8) 조찬한(趙纘韓)이 그의 문집과 <논사록(論思錄)>을 합간(合刊)하였다. 내용은 시·표(表)·소(疏)·사(辭)·기(記)·문(文)·명(銘)·서(序)·행장(行狀)·발(跋) 등을 수록하고, 부록으로 논사록 상·하 2권을 실었다. 책머리에 판서 장유(張維)와 장현광(張顯光)의 서문이 있고, 부록 끝에 조찬한·기세훈(奇世勳)의 발문이 있다. 고경명의 다섯째 아들인 고용후(高用厚)가 남원부사로 재임하던 1617년에 제작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