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근친[상사곡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근친(覲親). 귀녕(歸寧).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뵘.
근친(覲親)[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귀녕(歸寧).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뵘.
근친(覲親)[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뵘.
근친(覲親)[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몽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노졍긔 12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몽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노졍긔 12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뵘.
근친(覲親)[신힁가라 7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여자석별가 5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봉별가 11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용문가라 19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친(覲親)[기수가 5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근폭(芹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9 페이지 / 전적]
「芹曝」―獻芹 獻曝의 合稱임.列子 楊朱에「昔人有美戎菽 甘枲莖,芹萍子者 對鄕豪稱之 鄕豪取而嘗之 蜇於口 慘於腹 衆唒而怨之 其人大漸」이라 하였음 또 列子楊朱에 「宋國有田父 自曝於日 不知天下之有廣厦燠室 綿績狐貉 顧謂其妻曰 「負日之暄人莫知者 以獻吾君 將有重賞」이라 하여음.지금 物品이나 意見등을 남에게 貢獻하고 自謙의 뜻을 表示하는 것을 芹獻 또는 曝獻이라 함. 杜甫詩에 「灸背可以獻天子 美芹由來知野人」의 句가 바로 이를 指稱한 것임.
근폭(芹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7 페이지 / 전적]
「芹曝」-獻芹, 獻曝의 略稱인데 野人의 誠意에 비유한 말임。자세한 것은 위에 나타나 있음。
근폭(芹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1 페이지 / 전적]
「芹曝」― 獻芹獻曝의 合稱인데 野人의 誠意를 비유한 것임. 列子楊朱에 「昔人有美戎菽甘枲莖 芹萍子者 對鄕豪稱之 鄕豪取而嘗之 蜇於口 慘於腹 衆哂而怨之 其人大慙」이라 하였고 또 「昔子宋國有田父 常衣縕麻 僅以過冬 曁春東作 自曝於日 不如天下之有廣厦燠室綿纊狐貉 顧謂其妻曰 負日之暄 人莫知者 以獻吾君將有重賞」이라 하였음
근행(勤行)[신힁가라 17 페이지 / 전적]
시집간 딸이나 객지에 사는 자식들이 본가에 어버이를 뵈러 다님.
근행(勤行)[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부지런히 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