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기험(崎險)[잣치가라(치라) 31 페이지 / 전적]

기구(崎嶇)하다.세상살이가 순탄하지 못하고 가탈이 많음.

기험(崎險)[창덕가2 19 페이지 / 전적]

괴이하고 위태로움.

기험(崎險)[상사곡이라 5 페이지 / 전적]

기구(崎嶇)와 같은 말. 세상살이가 순탄하지 못하고 가탈이 많다.

기험(崎險)[창덕가2 20 페이지 / 전적]

괴이하고 위태로움.

기험(崎險)하다[안심가 10 페이지 / 전적]

기구(崎嶇)하다.

기험(기험)[교훈가 2 페이지 / 전적]

험하고 사나움. 기구(崎嶇).

기형괴형(奇形怪形)[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이상하고 괴상한 모습.

기혜갈혜(飢兮渴兮) 고고(呱呱)하고[알성가(謁聖歌) 37 페이지 / 전적]

굶주리고 목이 말라 울어대고

기혜갈혜(飢兮渴兮) 고고(呱呱)하고[양친가(養親歌) 2 페이지 / 전적]

굶주리고 목이 말라 울어대고

기화(奇貨)[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5 페이지 / 전적]

못되게 이용하는 기회.

기화(奇貨)[녁대가(녁가) 39 페이지 / 전적]

조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던 자초(子楚)를 여불위가 처음 보고 한 말로 진기한 물건이나 사람은 당장 쓸 곳이 없다 하여도 훗날을 위하여 잘 간직하는 것이 옳다는 뜻임.

기화(氣和)[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4 페이지 / 전적]

기가 화평함.

기화(琪花)[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선경(仙境)에 있다는 아름답고 고운 꽃.

기화(琪花)[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선경(仙境)에 있다는 아름답고 고운 꽃.

기화(琪花)[대동가(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선경(仙境)에 있다는 아름답고 고운 꽃.

기화(琪花)[궁월가라 8 페이지 / 전적]

선경(仙境)에 있다는 아름답고 고운 꽃.

기화(琪花)[봉별가 15 페이지 / 전적]

선경(仙境)에 있다는 아름답고 고운 꽃.

기화(飢火)[권왕가 28 페이지 / 전적]

이는 불기운과 같이 굶주림이 심하다는 것으로, 아주 심한 굶주림을 이름. 치성(熾盛) : 불같이 성하게 일어나는 것.

기화요처(琪花瑤草)[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7 페이지 / 전적]

옥같이 고운 풀에 핀 구슬같이 아름다운 꽃.

기화요초(琪花瑤草)[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옥같이 고운 풀에 핀 구슬같이 아름다운 꽃이라는 뜻으로 중국 전설에 요희(瑤姬)라신 여신이 있었는데, 본래 염제(炎帝) 신농씨(神農氏)의 딸이라 하고 혹은 서왕모(西王母)의 딸이라 한다. 요초(瑤草)는 바로 요희가 죽어서 생긴 풀로 모든 꽃과 풀의 신이라고 여겼다고 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