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뎨가[ 1 페이지 / ]
저기 가는.
도 류(陶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陶柳」 ― 陶潛과 柳宗元을 合稱한 것임. 朱子가 일찍이 말하기를「作詩 須從陶柳門庭來」라 하였음.
도 사(陶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6 페이지 / 전적]
「陶謝」―晋의 詩人 陶淵明과 謝靈運을 말한 것임.
도 연명(陶淵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4 페이지 / 전적]
「陶逕」― 陶淵明의 歸去來辭에 「三逕就荒」이라 했고, 또 「撫孤松而盤桓」 이라 했음.
도 정절(陶靖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陶濽」- 晋의 處士 陶濽을 말함. 濽의 字는 淵明이요 靖節은私謚임. 所著로 陶淵明集이 있음
도(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 페이지 / 전적]
「都兪」- 書經 益稷에「禹曰都 帝愼乃在位 帝曰兪」라 하였는데都는 歎美하는 말이요, 兪은 그 말을 시인하는 것임. 後世에同心同德의 君臣이 서로 討論하는 말로 쓰여지고 있음.
도ㆍ기 (道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 페이지 / 전적]
「道器」- 易 繫辭에『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上者 謂之器』라 하였음
도ㆍ기(道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4 페이지 / 전적]
「道器」- 易 繫辭에 「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下者 謂之器」라 하였음.
도가(棹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2 페이지 / 전적]
「棹歌」― 朱子의 武夷九曲 棹歌詩를 말한 것임.
도각선생(道覺先生)[창덕가2 21 페이지 / 전적]
수운 최제우를 이름.
도각선생(道覺先生)[창덕가2 22 페이지 / 전적]
수운 최제우를 이름.
도감(都監)[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사찰에서 돈이나 곡식에 관계되는 일을 맡아보는 직책. 또는 그 사람.
도감(都監)[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사찰에서 돈이나 곡식에 관계되는 일을 맡아보는 직책. 또는 그 사람.
도감(都監) 편장(片將) 화주(化主) 별좌(別座)[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불사(佛事)가 있을 때에 그 일을 맡아 책임지고 담당하는 사람들의 직책.
도감(都監) 편장(片將) 화주(化主) 별좌(別座)[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불사(佛事)가 있을 때에 그 일을 맡아 책임지고 담당하는 사람들의 직책.
도감포수(都監砲手)[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설치한 훈련도감의 포수.
도감포수(都監砲手)[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설치한 훈련도감의 포수.
도객(道客)[형졔분슈가 3 페이지 / 전적]
주최 측에서 초대한 도내의 먼 곳에서 온 손님.
도거(逃去)[칠석가 5 페이지 / 전적]
도망하여 물러감.
도계(到界)[민탄가(民歎歌) 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감사(監司)가 임지에 부임하던 일. 여기서는 도계전(到界錢)의 의미인 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