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모해(謀害)[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침.
모해(謀害)[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꾀를 써서 남을 해침.
모현(母賢)[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어머니가 어질고 현명함.
모홀(帽笏)[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모자에 달린 방울.
모홀석(帽笏石)[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9 페이지 / 전적]
길쭉하게 생긴 바윗돌.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중국 사신을 영접한 곳.
모화관(慕華館)[한흥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모화관(慕華館)[한흥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모화관(慕華館)[한흥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모화관(慕華館)[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때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
모훈(模訓)[계녀사라 8 페이지 / 전적]
본보기가 되는 가르침.
목[김씨효행가 41 페이지 / 두루마리]
무명으로 된 것.
목가(木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9 페이지 / 전적]
樹稼와 같은 말임. 舊唐書 讓皇帝憲傳에 『京城이 몹시 추워 엉긴 얼음이 나무를 封하니 이때에 學者들은 「春秋에 보이는 雨木泳이 곧 이것이다」라고 말하자 憲은 보고서 한탄하며 「이는 俗에서 말하는 樹稼이다」諺에 이르기를 「樹稼가 생기면 達官이 무서워한다」하였으니 아마도 내가 죽을 모양이다」하였음. 王荊公의 韓魏公挽辭에 「木稼會聞達官怕 山頹今見哲人萎」라는 글구가 보임.
목강(木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木强」―和柔하지 않다는 말임. 漢書에「周昌은 木强人이다」라 하였음.
목격(目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4 페이지 / 전적]
「目繫」-눈으로 친히 본다는 말과 같음. 莊子 田子方篇에 「仲尼曰若夫人者 目擊而道存矣」라 하였음.
목견(目見)[벽천가 24 페이지 / 전적]
눈으로 직접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