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섭정[팔역가(八域歌) 24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한나라의 자객

섭제(攝提)[화전가1 7 페이지 / 전적]

고갑자(古甲子)에서 천간의 열셋째, 인(寅)과 같다.

섭제(攝提)[화전가2 8 페이지 / 전적]

고갑자(古甲子)에서 천간의 열셋째, 인(寅)과 같다.

섭제(攝齊)하여 승당(升堂) 하실 때[사군가(事君歌) 5 페이지 / 전적]

옷자락을 거머잡고 당에 오르실 때.

섭주(攝主)[송강집(松江集三)3 118 페이지 / 전적]

종자(宗子)가 없을 경우에 대신 행사하는 이의 칭호.

섭현비부(葉縣飛鳧)[축산별곡 5 페이지 / 전적]

섭현은 중국의 지명. 여기에서는 고을의 수장의 소임을 말함.

섯도는데[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섞어 도는데.

섯천을 브절아[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서천(西天)을 부절(符節)삼아. 서역국을 부절삼아. ‘서천’은 서천서역국(西天西域國)의 준말로 생각됨.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姓秦」―梣을 榛이라고도 하기 때문에 秦으로 바꾸어 姓을 만들어 戱한 것임. 避秦은 陶淵明의 桃花源에 보임.

성(城) 쌓고 남은 돌[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쓰일 자리에 쓰이지 못하고 남아 쓸모없이 된 것이나 혼자 남아 외로운 신세를 이르는 말로, 작중 화자가 백발이 된 자기 신세를 자조적으로 비유함

성(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5 페이지 / 전적]

「性之反之」- 孟子 盡心에 「堯舜 性之也 湯武 反之也」라 했고그 註에 性이란, 全을 하늘에서 얻어 汚壝된바 없으므로 脩爲 를 빌리지 않으니, 聖의 지극이요, 反이란 脩爲하여 그 性을 되찾아 聖人에 이르는 것이다」라 하였음.

성(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6 페이지 / 전적]

「率性」― 率은 隨와 같은 뜻이니 그 性의 自然을 따른다는 말임. 中庸에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라 하였음

성(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9 페이지 / 전적]

「成子臯」-子皋는 孔孑弟子 子羔인데 性이 至孝하였음。 禮記檀己에 「成人有其兄死 而不爲衰者聞子皋將爲成宰遂爲衰」라는 대문이 있음。

성(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0 페이지 / 전적]

「杯中聖」- 술의 淸은 聖이요 濁은 賢이라 稱함. 菊花앞에 淸酒를 마신다는 말

성(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5 페이지 / 전적]

「聲象」- 說文解字叙에「保氏敎國子 先以六書 一曰指事 指事者視而可識 察而見意 上下是也 二曰象形 象形者 畫成其物 隨處詰屈 日月是也 三曰形聲 形聲者 以事爲名 取譬相成 江河是也」……라 하였음.

성가(成家)[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3 페이지 / 전적]

재산을 모아 집안을 일으켜 세움.

성거관(聖居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 페이지 / 전적]

「聖居關」- 金澤榮의 朴淵瀑布詩에「聖居關外石崔嵬」의 句가 있음.

성경(誠敬)[리행소챙가 24 페이지 / 전적]

정성스러움과 공경스러움.

성경가사(聖經歌辭)[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동학가사인『용담유사』를 말함.

성경가사(聖經歌辭)[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동학가사인『용담유사』를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