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조막심(蕭條莫甚)[한양가라 77 페이지 / 전적]

고요하고 쓸쓸한 분위기가 아주 심함.

소족방족(素族房族)[경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소족은 관직에 있지 아니한 일반 백성. 방족은 집안 주인의 친족.

소족방족(素族房族)[경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소족은 관직에 있지 아니한 일반 백성. 방족은 집안 주인의 친족.

소졸(小卒)[벽천가 25 페이지 / 전적]

젊어서 세상을 떠남.

소졸(疏拙)[후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꼼꼼하지 못하고 서투름.

소종(疎鍾)[ 1 페이지 / ]

이따금 들리는 종소리. 아련한 종소리

소중랑(蔬中郞)[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 중국 전한의 정치가. 자는 자경(子卿).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잡혀 19년간 억류되었다가 귀국했는데, 절개를 굳게 지킨 공으로 전속국(典屬國)에 임명됨.

소중랑(蔬中郞)[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 중국 전한의 정치가. 자는 자경(子卿).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잡혀 19년간 억류되었다가 귀국했는데, 절개를 굳게 지킨 공으로 전속국(典屬國)에 임명됨.

소중랑(蔬中郞)[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 중국 전한의 정치가. 자는 자경(子卿).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잡혀 19년간 억류되었다가 귀국했는데, 절개를 굳게 지킨 공으로 전속국(典屬國)에 임명됨.

소중랑(蘇中郞)[한양가라 14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인 소무(蘇武)를 말한다. 그는 흉노(匈奴)로 사신갔다가 억류당해서 19년 만에 돌아왔다고 한다. 그가 억류되어 있는 동안 기러기 다리에다 편지를 묶어 보내 고국으로 소식을 전했다고 하며, 여기서 ‘안서(雁書)’라는 말이 유래했다.

소중랑(蘇中郞)[소상팔경가 29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나라 때의 사람 소무(蘇武)를 말함.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잡힘.

소중랑(蘇中郞)[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 때의 명신 소무(蘇武).

소중랑(蘇中郞)[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 때의 명신 소무(蘇武).

소중랑(蘇仲郎)[신힁가라 1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 때의 명신. 선우에게 붙잡혀 복속할 것을 강요당하였으나 이에 굴하지 않아 북해(바이칼호) 부근에 19년간 유폐됨. 흉노에게 항복한 지난날의 동료 이릉이 설득하였으나 굴복하지 않고 절개를 지켜 귀국.

소중랑(蘇仲郎)[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무제 때의 소무(蘇武).

소중랑(蘇仲郎)[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무제 때의 소무(蘇武).

소중랑(蘇仲郞)[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中國) 전한(前漢)의 충신(忠臣)인 소무(蘇武)의 벼슬이름. 무제 때 흉노(匈奴) 사신(使臣)으로 갔다가 억류(抑留)된 지 19년만에 귀국(歸國). 흉노에게 억류된 십년 동안 사신의 부절을 놓지 않고 절개(節槪)를 굳게 지킨 것을 잌컬음.

소중랑(蘇仲郞)[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中國) 전한(前漢)의 충신(忠臣)인 소무(蘇武)의 벼슬이름. 무제 때 흉노(匈奴) 사신(使臣)으로 갔다가 억류(抑留)된 지 19년만에 귀국(歸國). 흉노에게 억류된 십년 동안 사신의 부절을 놓지 않고 절개(節槪)를 굳게 지킨 것을 잌컬음.

소중랑(蘇仲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전한(前漢)의 충신(忠臣)인 소무(蘇武)의 벼슬이름. 무제 때 흉노(匈奴) 사신(使臣)으로 갔다가 억류(抑留)된 지 19년만에 귀국(歸國). 흉노에게 억류된 십년 동안 사신의 부절을 놓지 않고 절개(節槪)를 굳게 지킨 것을 잌컬음.

소중랑(蘇仲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전한(前漢)의 충신(忠臣)인 소무(蘇武)의 벼슬이름. 무제 때 흉노(匈奴) 사신(使臣)으로 갔다가 억류(抑留)된 지 19년만에 귀국(歸國). 흉노에게 억류된 십년 동안 사신의 부절을 놓지 않고 절개(節槪)를 굳게 지킨 것을 잌컬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