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구금성(水口金星)[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 페이지 / 전적]
물이 내려가는 쪽에 금성 형태로 된 산.
수구금편(繡句錦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1 페이지 / 전적]
錦繡같이 찬란한 篇句라는 뜻으로 그 文章의 華美함을 말함.
수구여병(守口如甁)[셩경가 10 페이지 / 전적]
입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 비밀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
수구여병(守口如甁)[셩경가 10 페이지 / 전적]
입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 비밀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
수구여병(守口如甁)[용문가라 22 페이지 / 전적]
입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 비밀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
수구외(水口外)[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혈(穴)과 사(砂)가 합치되어 있는 하나의 국(局)에서 양수(兩水)가 합하여 흘러나가는 지점을 수구라고 하는데, 혈내의 수구를 내수구(內水口), 청룡백호간에 흘러가는 출구를 수구를 외수구하고 한다.
수구외(水口外)[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혈(穴)과 사(砂)가 합치되어 있는 하나의 국(局)에서 양수(兩水)가 합하여 흘러나가는 지점을 수구라고 하는데, 혈내의 수구를 내수구(內水口), 청룡백호간에 흘러가는 출구를 수구를 외수구하고 한다.
수구외(水口外)[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혈(穴)과 사(砂)가 합치되어 있는 하나의 국(局)에서 양수(兩水)가 합하여 흘러나가는 지점을 수구라고 하는데, 혈내의 수구를 내수구(內水口), 청룡백호간에 흘러가는 출구를 수구를 외수구하고 한다.
수구장쇄(水口藏鎖)[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4 페이지 / 전적]
물 나가는 입구가 좁음.
수구지심(首丘之心)[운청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수국(水國)[개화별곡이라 16 페이지 / 전적]
바다의 세계.
수군숙덕[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 페이지 / 전적]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몹시 어수선하게 이야기하는 소리.
수군숙덕[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7 페이지 / 전적]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몹시 어수선하게 이야기하는 소리.
수군숙덕[춘몽가(츈몽가) 28 페이지 / 전적]
얼룩덜룩한 대나무.순(舜) 임금이 창오에서 죽게 되자 순(舜)의 두 부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상수(湘水)로 따라가며 눈물을 흘려 근처의 대나무에 떨어진 눈물로 얼룩무늬가 생기게 됨.이 대나무를 상비죽(湘妃竹) 또는 소상 반죽이라고 부르는데 남편을 따라 죽은 아황과 여영의 절개를 상징하게 되었다고 함.
수군숙덕[춘몽가(츈몽가) 28 페이지 / 전적]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낮은 목소리로 몹시 어수선하게 이야기하는 소리.또는 그 모양.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도의 수군을 통솔하는 일을 맡아보던 정삼품 외직 무관(外職武官)의 벼슬. 세조 12년(1466)에 수군도안무처치사를 고친 것으로, 모두 당상관이었다.
수굿수굿[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개를 조금 숙인 듯한 모양.
수근(守勤)[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신수군(愼守勤).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부친.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으로 추증됨.
수근(守勤)[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신수군(愼守勤).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부친.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으로 추증됨.
수근(守勤)[한흥가라 58 페이지 / 전적]
신수군(愼守勤).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부친.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으로 추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