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애연(靄然)하다[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구름이나 안개 따위가 짙게 끼다.

애연하다[여자석별가 18 페이지 / 전적]

슬픈 듯하다.

애오생지가련(哀吾生之可憐)[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나의 삶이 가련함을 슬퍼함.

애오생지수우혜(哀吾生之須臾兮)[선유가라 12 페이지 / 전적]

우리의 삶이 잠깐임을 슬퍼함.

애옥살이[로인가 7 페이지 / 전적]

가난에 쪼들려서 애를 써 가며 사는 살림살이.

애옥하다[회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림이 매우 구차하다.

애왕(哀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7 페이지 / 전적]

발해의 마지막 왕. 성은 대(大). 이름은 인선(諲譔). 926년에 거란 태종에게 부여성에서 포위되어 항복했다.

애욕(愛慾)[자책가(가) 4 페이지 / 전적]

애정과 욕심.

애욕(愛慾)[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애정과 욕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애욕망(愛慾網)[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애욕망(愛慾望)’을 잘못 쓴 것으로 애정과 욕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애욕중생(愛慾衆生)[화엄결사권연가라 5 페이지 / 전적]

애정과 욕심에 사로잡힌 중생.

애원(哀怨)[녁대가(녁가) 32 페이지 / 전적]

슬프게 원망함.

애원(哀怨)[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슬프게 원망함.

애원지심(哀怨之心)[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슬프도록 원망해하는 마음.

애원지심(哀怨之心)[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슬프도록 원망해하는 마음.

애의소자(愛意小子)[별교사(별교)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 자식을 사랑스러워 함.

애이육지(愛而育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사랑으로 기름.

애이육지(愛而育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사랑으로 기름.

애인[경영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애이다’의 어근으로 ‘애이다’는 ‘빼앗기다’의 오기(誤記).

애인생지(哀人生之)[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삶을 애닲아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