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행상극(五行相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오행이 서로 배척하고 부정하는 이치, 즉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목극토(木剋土)의 이치.
오행상생(五行相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오행이 서로 가까이 조화를 이루며 순환해서 생성하여 주는 이치, 즉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 오행은 우주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인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를 이름.
오행상생(五行相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오행이 서로 가까이 조화를 이루며 순환해서 생성하여 주는 이치, 즉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 오행은 우주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인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를 이름.
오행상생(五行相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8 페이지 / 전적]
오행이 서로 가까이 조화를 이루며 순환해서 생성하여 주는 이치, 즉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 오행은 우주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인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를 이름.
오행상생(五行相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오행이 서로 가까이 조화를 이루며 순환해서 생성하여 주는 이치, 즉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 오행은 우주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인 금(金)ㆍ수(水)ㆍ목(木)ㆍ화(火)ㆍ토(土)를 이름.
오행성기(五行盛氣)[당산조션가 11 페이지 / 전적]
오행의 왕성한 기운.
오행성기(五行盛氣)[어와따님요(어와님요) 2 페이지 / 전적]
오행의 왕성한 기운.
오행수기(五行秀氣)[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5 페이지 / 전적]
‘오행(五行)’의 빼어난 기운. 오행(五行)은 우주(宇宙) 사이를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 원소인 ‘쇠(金)ㆍ나무(木)ㆍ물(水)ㆍ불(火)ㆍ흙(土)’을 의미함.
오행수기(五行秀氣)[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5 페이지 / 전적]
‘오행(五行)’의 빼어난 기운. 오행(五行)은 우주(宇宙) 사이를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 원소인 ‘쇠(金)ㆍ나무(木)ㆍ물(水)ㆍ불(火)ㆍ흙(土)’을 의미함.
오행이기(五行理氣)[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8 페이지 / 전적]
오행(五行)의 이(理)와 기(氣). 오행(五行)은 우주(宇宙) 만물(萬物)을 형성하는 다섯 가지 원기(元氣). 곧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오행상행(五行相生)과 오행상극(五行相剋)의 이치로 전 우주와 만물을 지배한다고 함.
오행정기(五行精氣)[경화가(警和歌) 46 페이지 / 전적]
만물에 갖추어져 있는 오행의 순순한 기운.
오행정기(五行精氣)[경화가(警和歌) 46 페이지 / 전적]
만물에 갖추어져 있는 오행의 순순한 기운.
오행지리(五行之理)[경화가(警和歌) 4 페이지 / 전적]
오행(五行 - 수 ․ 화 ․ 목 ․ 금 ․ 토)의 이치. 오행의 첫째는 물(水)이고, 둘째는 불(火)이고, 셋째는 나무(木)이고, 넷째는 쇠(金)이고, 다섯째는 흙(土)이다. 물은 적시고 내려가는 것이고, 불은 타고 올라가는 것이고, 나무는 굽고 곧은 것이고, 쇠는 따르고 바뀌는 것이고, 흙은 심고 거두는 것이다. 즉, 적시고 내려가는 것은 짠 것, 타고 올라가는 것은 쓴 것, 굽고 곧은 것은 신 것, 따르고 변화하는 것은 매운 것, 심고 거두는 것은 단 것을 만든다. 이 오행 중에도 토(土)가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 토는 만물을 소생시키며 그중 곡식을 만든다. 이 곡식은 또한 사람을 소생시키며, 생명을 영위(英偉)하게 하는 중요한 것임. 오행(五行)은 『서경(書經)』「주서(周書) ․ 홍범(洪範)」의 글에 있음. - “오행 일왈 수이왈화삼왈목사왈금오왈토 수왈윤하 화왈염상 목왈곡직 금왈종혁 토원가색 윤하작함 염상작고 곡직작산 종혁작신 가색작감(五行 一曰水二曰火三曰木四曰金五曰土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 潤下作鹹 炎上作苦 曲直作酸 從革作辛 稼穡作甘).
오행지리(五行之理)[경화가(警和歌) 4 페이지 / 전적]
오행(五行 - 수 ․ 화 ․ 목 ․ 금 ․ 토)의 이치. 오행의 첫째는 물(水)이고, 둘째는 불(火)이고, 셋째는 나무(木)이고, 넷째는 쇠(金)이고, 다섯째는 흙(土)이다. 물은 적시고 내려가는 것이고, 불은 타고 올라가는 것이고, 나무는 굽고 곧은 것이고, 쇠는 따르고 바뀌는 것이고, 흙은 심고 거두는 것이다. 즉, 적시고 내려가는 것은 짠 것, 타고 올라가는 것은 쓴 것, 굽고 곧은 것은 신 것, 따르고 변화하는 것은 매운 것, 심고 거두는 것은 단 것을 만든다. 이 오행 중에도 토(土)가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 토는 만물을 소생시키며 그중 곡식을 만든다. 이 곡식은 또한 사람을 소생시키며, 생명을 영위(英偉)하게 하는 중요한 것임. 오행(五行)은 『서경(書經)』「주서(周書) ․ 홍범(洪範)」의 글에 있음. - “오행 일왈 수이왈화삼왈목사왈금오왈토 수왈윤하 화왈염상 목왈곡직 금왈종혁 토원가색 윤하작함 염상작고 곡직작산 종혁작신 가색작감(五行 一曰水二曰火三曰木四曰金五曰土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 潤下作鹹 炎上作苦 曲直作酸 從革作辛 稼穡作甘).
오현(五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五賢」- 靜庵 趙光祖, 退溪 李晃, 栗谷 李珥, 沙溪 金長生,尤庵 宋時烈을 들어 말하고 또 寒暄 金宏弼, 一蠹 鄭汝昌,靜庵 趙光祖, 晦齊 李彦迪, 退溪 李滉을 말하기도 함。
오현(五賢)[ 1 페이지 / ]
다섯 명의 유현(儒賢). 여기에서는 조선조의 유학자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가리킨다.
오현(五賢)[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67 페이지 / 전적]
다섯 명의 유현(儒賢). 여기에서는 조선조의 유학자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가리킨다.
오현금(五絃琴)[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섯줄로 된 거문고. 중국 순(舜)임금이 만들었다는 옛날의 거문고.
오현금(五絃琴)[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다섯 줄로 된 옛날 거문고의 하나. 중국의 순(舜) 임금이 만들었다고 하며 칠현금(七絃禽)의 원형이다.
오현금(五絃琴)[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남풍가(南風歌)>를 연주하던 태평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