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안족(雁足)[노졍긔 11 페이지 / 전적]

기러기 발.

안족(雁足)[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소중랑이 조국으로 편지를 보낼 때 기러기 발에 붙여 보냈다는데서 유래.

안족(雁足)[형제이회가(형이회가) 6 페이지 / 전적]

소중랑이 조국으로 편지를 보낼 때 기러기 발에 붙여 보냈다는데서 유래.

안좌(安坐)[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편하게 앉아 있음.

안주[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8 페이지 / 전적]

고양(高陽)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임. 고양은 현재 경기도 고양시를 가리킴.

안주[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 북서부 지명

안주 등물(按酒等物)[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술안주가 되는 같은 종류의 물건.

안주(安酒)[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안주(按酒)’가 맞는 표현. 술안주

안죽은[육십회갑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직은

안중 眼中)[외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눈의 안. 관심이나 의식의 범위 내.

안중(眼中)[복션화음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손바닥 속과 눈 가운데. 관심을 집중함.

안쥭난[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안죽는 것이. 안죽는 게.

안증사맹(安曾思孟)[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네 제자인 안회, 증자, 자사, 맹자.

안증사맹(顔曾思孟)[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들로 顔子, 曾子, 子思(공자의 손자), 孟子.

안증사맹(顔曾思孟)[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종통(宗統))을 이은 인물들. 안회(顔回),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안증사맹(顔曾思孟)[거창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종통(宗統))을 이은 인물들. 안회(顔回),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안증사맹(顔曾思孟)[해몽가라(몽가라) 12 페이지 / 전적]

안회(顔回)·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 등 공자의 법통을 이은 네 사람.

안증사맹(顔曾思孟)[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종통을 이은 인물들.안회, 증자, 자사, 맹자.

안증사맹(顔曾思孟)[아림가(娥林歌) 10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종통을 이은 인물들. 안회, 증자, 자사, 맹자.

안증사맹(顔曾思孟)[아림가(娥林歌) 3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종통을 이은 인물들. 안회, 증자, 자사, 맹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