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막막(漠漠)[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너르고 멀어서 아득한 모양.

막막(漠漠)[옥산가라 53 페이지 / 전적]

아주 넓거나 멀어 아득함.

막막漠漠[ 1 페이지 / ]

아주 넓어 끝이 없는 모양. 어두운 모양.

막막됴[ 1 페이지 / ]

막막조邈邈調. 매우 강하고 급한 가락.

막막평사(漠漠平沙)[소상팔경가 29 페이지 / 전적]

막막한 모래사장.

막매하니[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몽매(蒙昧)하니. 어리석고 어둡다.

막무(莫無)[말이타국원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융통성이 없음. 막무가내.

막부(幕府)[송강집(松江集一)1 3 페이지 / 전적]

장군이 외지에서 군무를 집무할 때 장막을 설치함에 인연한 말. 史記 廉頗藺相如傳에 「李牧者 趙之北邊良將也常居代鴈門備匈奴以便宜置吏市租皆輸幕府」

막부(幕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1192년에서 1868년까지 일본을 통치한 쇼군의 정부. 천황은 상징적인 존재가 되고 쇼군이 실질적인 통치권을 가졌다. 1192년에 미나모토 요리토모(源賴朝)가 가마쿠라(鎌倉)에 최초의 막부를 설치하였다.

막비(莫非)[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아닌게 아니라를 한문투로 이르는 말.

막비(莫非)[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아닌게 아니라를 한문투로 이르는 말.

막비가운(莫非家運)[벽천가 41 페이지 / 전적]

집안의 운을 어찌할 도리 없다.

막비왕민(莫非王民)[오윤가 18 페이지 / 전적]

왕의 백성이 아닌 자가 없음.

막비왕토(莫非王土)[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8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땅 아닌 것이 없음

막비왕토(莫非王土)[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음.

막비왕토(莫非王土)[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왕의 땅이 아닌 것이 없음.

막비천명(莫非天命)[궁월가라 3 페이지 / 전적]

천명이 아닌 경우가 없음.

막설(莫說)[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얘기하지 말라. 막론과 같은 뜻.

막수(莫愁)[송강집(松江集一)1 161 페이지 / 전적]

고대(古代)의 여자 이름인데 가요(歌謠)를 잘하였다.

막수유(莫須有)[송강집(松江集七)7 61 페이지 / 전적]

사실은 명백하지 않지만 있을 것이라고 추단(推斷)하는 것. 송(宋)나라 진회(秦檜)가 악비(岳飛)는 범죄한 사실이 있을 것이라고 투옥시킨 사건. 宋史 岳飛傳에「韓世忠曰莫須有三字何以服天下」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