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감발[자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버선이나 양말 대신 발에 감는 좁고 긴 무명천인 발감개를 말함.

감발[잣치가라(치라) 36 페이지 / 전적]

버선이나 양말 대신 발에 감는 좁고 긴 무명천인 발감개를 말함.

감발[소상팔경가 15 페이지 / 전적]

버선이나 양말 대신 발에 감는 좁고 긴 무명천인 발감개를 말함.

감발[자치가 17 페이지 / 전적]

버선이나 양말 대신 발에 감는 좁고 긴 무명천인 발감개를 말함.

감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1 페이지 / 전적]

「方岳」―各道의 監司를 말함.

감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召伯」―召는 地名인데 周文王의 庶子 召公奭의 釆邑임. 召公奭이 成王時에 周公과 더불어 一一伯이 되어 陝을 나누어 다스렸기 때문에 또 召伯이라 稱함. 召伯이 甘棠의 遺愛가 있으므로 여기는 빌려서 監司에게 쓴 것임.

감사[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종 2품의 지방 관직, 일명 관찰사

감사(監司)[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관찰사(觀察使). 조선시대 각 도의 지방장관.

감사관(監査官)[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행정의 보조 기관.

감상(監床)[아림가(娥林歌) 29 페이지 / 전적]

귀한 사람에게 올릴 음식상을 미리 살펴봄.

감상지심(感賞之心)[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연을 감상하는 마음.

감소고우(敢昭告于[인여가(引轝歌) 10 페이지 / 전적]

감히 밝혀 아뢰옵니다.

감소고우(敢昭告于[인여가(引轝歌) 10 페이지 / 전적]

감히 밝혀 아뢰옵니다.

감소고우(敢昭告于[인여가(引轝歌) 10 페이지 / 전적]

감히 밝혀 아뢰옵니다.

감소고우(敢昭告于)[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감히 아뢰옵니다’의 뜻으로 축문이나 제문의 관용적인 표현.

감소고우(敢昭告于)[자치가라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감히 밝혀 아룁니다.

감소고우(敢昭告于)[소상팔경가 19 페이지 / 전적]

감히 밝혀 아룁니다.

감소고우(敢昭告于)[자치가 21 페이지 / 전적]

감히 밝혀 아룁니다.

감수(減壽)[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수명이 줄어 듦.

감수(甘受)하고[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책망이나 괴로움 따위를 달갑게 받아들이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