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방환지명(放還之命)[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유배에서 방면되어 돌아오라는 명령.

방환지명(放還之命)[북쳔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귀양살이를 그만 두고 집으로 돌아가라는 명.

방효유(方孝孺)[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 1402년 연왕(燕王: 뒤의 영락제)이 황위(皇位)를 찬탈한 뒤, 그에게 즉위의 조(詔)를 기초하도록 명하자 붓을 땅에 내던지며 죽음을 각오하고 거부하자 연왕은 노하여 그를 극형에 처함.

방효유(方孝孺)[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 1402년 연왕(燕王: 뒤의 영락제)이 황위(皇位)를 찬탈한 뒤, 그에게 즉위의 조(詔)를 기초하도록 명하자 붓을 땅에 내던지며 죽음을 각오하고 거부하자 연왕은 노하여 그를 극형에 처함.

방효유(方孝孺)[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9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 1402년 연왕(燕王: 뒤의 영락제)이 황위(皇位)를 찬탈한 뒤, 그에게 즉위의 조(詔)를 기초하도록 명하자 붓을 땅에 내던지며 죽음을 각오하고 거부하자 연왕은 노하여 그를 극형에 처함.

방효유(方孝孺)[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 1402년 연왕(燕王:뒤의 영락제)이 황위(皇位)를 찬탈한 뒤, 그에게 즉위의 조(詔)를 기초하도록 명하자 붓을 땅에 내던지며 죽음을 각오하고 거부하자 연왕은 노하여 그를 극형에 처함.

방효유(方孝孺)[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 1402년 연왕(燕王:뒤의 영락제)이 황위(皇位)를 찬탈한 뒤, 그에게 즉위의 조(詔)를 기초하도록 명하자 붓을 땅에 내던지며 죽음을 각오하고 거부하자 연왕은 노하여 그를 극형에 처함.

방효유(方孝孺)[녁대가(녁가) 63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1357~1402). 1402년 연왕(燕王

방휼시(蚌鷸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 페이지 / 전적]

방합(蚌蛤)과 도요새(鷸鳥)를 가리키는 말로 ‘蚌鷸之勢’의 준말.

방흑사(放黑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미상이나, 횡충사(橫冲砂)와 함께 좋지 않은 사(砂).

방흑사(放黑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미상이나, 횡충사(橫冲砂)와 함께 좋지 않은 사(砂).

방흑사(放黑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미상이나, 횡충사(橫冲砂)와 함께 좋지 않은 사(砂).

[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장기판, 고누판, 윷판, 바둑판 따위에서 말이 머무르는 자리.

[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장기판, 고누판, 윷판, 바둑판 따위에서 말이 머무르는 자리.

밭두름[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밭두렁.

밭사돈[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바깥사돈의 준말. 사위 또는 며느리의 친아버지를 양쪽 사돈집에서 서로 이르는 말.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3 페이지 / 전적]

「丹藏壑」―莊子大宗師에「藏丹於壑藏山於澤 可謂固矣 然而夜半有力者 負之而走 昧者不知也」라 하였음.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8 페이지 / 전적]

「造舟爲梁」―배를 맞대어 橋梁을 만들었다는 말인데, 즉 배위에 加版하여 通行하는 것으로 지금의 浮橋임. 이는 文王의 親迎한 일을 기록한 것임. 詩經 大雅 大明에「造舟爲梁 不顯其光」의 句가 있음.

[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장, 창자, 콩팥 따위의 내장.

[농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위장, 창자, 콩팥 따위의 내장.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