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배[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6 페이지 / 두루마리]
‘듣는 비’ 곧 ‘떨어지는 비’의 잘못.
배 속의 금갑[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52 페이지 / 전적]
복중서 (腹中書)와 같은 말로 공부를 많이하여 지식이 풍부함을 말함.
배괴(杯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5 페이지 / 전적]
「杯塊」―湖는 한잔 물 같이, 嶽은 한덩이 흙같이 본단 말임
배교(环珓)[송강집(松江集三)3 100 페이지 / 전적]
옛적에 제사날짜를 가리며 점(占)을 치는 도구.
배권(杯圈)[경명가(敬命歌) 7 페이지 / 전적]
잔과 그릇.
배권(杯圈)[광애가(廣愛歌) 1 페이지 / 전적]
잔과 그릇.
배극겸(裵克廉)[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조선 개국 1등 공신.
배극겸(裵克廉)[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조선 개국 1등 공신.
배극렴(裵克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조선 초기의 무신(1325~1392)으로 자는 양가(量可), 호는 주금당(晝錦堂)이다. 고려 말에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 왕조를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워 성산백(星山伯)의 작위를 받았다.
배근달지(培根達支)[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학(小學)』에 나오는 말로 뿌리가 북돋으면 가지가 무성하다는 뜻이다. 이는 뭇사람들에게 예의를 가르쳐 그들의 뿌리를 북돋아줘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말이다.
배근달지(培根達支)[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학(小學)』에 나오는 말로 뿌리가 북돋으면 가지가 무성하다는 뜻이다. 이는 뭇사람들에게 예의를 가르쳐 그들의 뿌리를 북돋아줘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말이다.
배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7 페이지 / 전적]
「噬臍」―後悔해도 때는 늦었다는 말임.左傳 莊公 六年에「若不早圖 後君噬臍」라 했는데 註에「자기 배꼽을 씹는 것과 같아서 도저히 미처가지 못한다는 것이다」하였음.지금 말하는 噬臍도 義가 근본된 것임.
배꼽에 높은 등잔불이 백일 동안 밝았으니[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동탁은 사망한 후 참수되어 머리와 몸통이 따로 분리된 채 장안성에 효수되었는데, 한 병사가 동탁의 배꼽에 불을 놓자 며칠씩이나 계속 탔다고 함.
배도(倍道)[면앙집(俛仰集 一)1 121 페이지 / 전적]
一倍로 速行함
배돌다[자책가(가) 17 페이지 / 전적]
한데 어울리지 않고 동 떨어져 행동하다.
배따라기[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이 배를 타고 떠나는 광경을 형상화한 춤이나 혹은 춤을 따라 부르는 노래. 무대에 채선(彩船)을 갖추어 두고 기생과 동기(童妓)들이 나와 춤을 추고 노래하면서 그 채선을 타고 떠나는 흉내를 냄.
배따라기[뎡슝샹회방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서경(西京) 악부(樂府) 열두 가지 춤의 하나.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이 배를 타고 떠나는 광경을 묘사한 것으로, 무대에 채선(彩船)을 갖추어 두고 기생과 동기(童妓)들이 나와 춤을 추고 노래하면서 그 채선을 타고 떠나는 흉내를 낸다.
배려(背戾)[우애가(友愛歌) 3 페이지 / 전적]
배반되고 어그러짐.
배례(拜禮)[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8 페이지 / 전적]
절하여 예를 표함.
배례(拜禮)[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절하는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