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간(復諫)[동과가(諌過歌) 2 페이지 / 전적]
다시 간하다.
부감(俯鑑)[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4 페이지 / 전적]
높은 데서 내려다보는 것.
부거(副車)[녁대가(녁가) 40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순행할 때 여벌로 따라가던 수레. 장량의 박랑사 습격은 진시황이 탄 마차가 아니라 부거를 침으로써 실패함.
부거芙渠[ 1 페이지 / ]
부용芙蓉. 연꽃을 달리 이르는 말임
부견(付見)[구산가(求山歌) 3 페이지 / 전적]
눈여겨 봄.
부경(赴京)[면앙집(俛仰集 一)1 41 페이지 / 전적]
赴京:明나라 서울에 使節로 감을 말함
부경(赴京)[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7 페이지 / 전적]
부경사신(赴京使臣). 중국의 경사(京師)에 가는 사신을 말함. 정철이 1593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것을 말함.
부경부직(夫耕婦織)[명륜가(明倫歌) 23 페이지 / 전적]
지아비는 농사짓고 지어미는 베를 짜는 것을 일컬음.
부계(府啓)[송강집(松江集五)5 20 페이지 / 전적]
사헌부(司憲府)의 계(啓)
부곡(赴哭)[시절가 8 페이지 / 전적]
근친이 상을 당하여 상가로 갈 때에 동구나 상가 대문을 들어서면서 곡을 함. 또는 그런 일.
부공(婦功)[여행록이라(여녹이라) 9 페이지 / 전적]
부인의 공덕.집 안에서 부녀자가 하는 길쌈이나 바느질 따위의 일.
부관참시(剖棺斬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3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을 극형에 처하던 일로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
부교(浮橋)[태평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배를 잇대어 임시로 만든 다리.
부국판서(富國判書)[자심운수가(심운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의 으뜸 벼슬. 정3품.
부군(夫君)[신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편.
부군(府君)[송강집(松江集三)3 103 페이지 / 전적]
자기 조상의 존칭. 朱子語類에 「今人亦謂父曰家府君」
부군(府君)[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작자의 선친(先親).
부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6 페이지 / 전적]
鼎鍾」-鍾鳴鼎食의 略稱인데 富貴의 家를 말한 것임.
부귀 동락(富貴同樂)[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부귀를 누리며 같이 즐기는 것.
부귀(富貴)[권왕가 46 페이지 / 전적]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 창성(昌盛) : 번성하여 잘되어 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