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모전(父母前)의[츅친서라 2 페이지 / 전적]
부모님 앞에.
부모제향(父母祭享)[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3 페이지 / 전적]
부모님의 제사. 제향(祭享)은 제사(祭祀)의 높임말.
부모종천(父母終天)[냥신낙사가(냥신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께서 돌아가심.
부모종천(父母終天)[냥신낙사가(냥신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께서 돌아가심.
부모주혼(父母主婚) 마다하고[명륜가(明倫歌) 68 페이지 / 전적]
부모가 혼인을 주관하는 것을 마다하고.
부모처자(父母妻子)[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과 아내 그리고 자식.
부묘례(祔廟禮)[송강집(松江集三)3 98 페이지 / 전적]
삼년상을 필한 후 새 신주(神主)가 사당에 계신 할아버지 신주 옆으로 가는 예(禮).
부무적국(富無敵國)[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2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궁핍하게 살 형상.
부문(浮文)[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헛된 겉치레만 하고 실속이 없는 글.
부미(負米)[나부가라(라부가라) 11 페이지 / 전적]
쌀을 짊어짐.
부미(負米)[오륜가 1 페이지 / 전적]
쌀을 짊어짐.
부벌(付罰)[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벌할 것을 청함.
부벌(付罰)[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벌할 것을 청함.
부벌(付罰)[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벌할 것을 청함.
부벌(付罰)[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벌할 것을 청함.
부벌(付罰)[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벌할 것을 청함.
부벽(浮碧)[연행별곡(연별곡) 32 페이지 / 전적]
평양 을밀대(乙密臺) 아래에 지어진 누각.
부벽(浮碧)[죽엽가(쥭엽가) 2 페이지 / 전적]
평양 을밀대(乙密臺) 아래에 지어진 누각.
부벽루(浮璧樓)[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평양 모란대(牡丹臺) 밑 청류벽(淸流壁) 위에 있는 누각. 부벽완월(浮壁翫月)은 평양 팔경의 하나.
부벽루(浮碧樓)[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평양의 모란대(牧丹臺) 밑 절벽 위에 있는 누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