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북창풍(北窓風)[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북쪽으로 낸 창에 부는 시원한 창 바람.

북천(北天)[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북쪽 하늘.

북천(北天)[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북쪽 하늘.

북천(北遷)[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으로 옮긴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북쪽으로 유배간다는 뜻임.

북천(北遷)[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으로 옮김.

북청[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북동부 지역, 숙신고도 등지로 유명

북청(北淸)[유소가 5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동북부에 있는 읍. 남대천 유역에 있어서 쌀, 콩, 보리 따위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북청읍(北靑邑)[북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읍.

북촌(北村)[허후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에 있는 마을, 조선시대에 서울 안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북촌(北村)[낙향이별가 9 페이지 / 전적]

북쪽에 있는 마을, 조선시대에 서울 안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

북평사(北評事)[북쳔가 3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함경도에 있는 북병영에 속한 정육품 무관 벼슬로 함경도 병마절도사의 보좌관이다.

북해(北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0 페이지 / 전적]

「北海樽」―孔融은 東漢 魯國人인데 字는 文擧요 孔子의 後孫이다。小時에 俊才가 있었고 獻帝時에 北海太守가 되어 學校를 일으키고 儒生을 重히여기며 性이 賓客을 좋아하여 일찍이 말하기를 「座上客常滿 樽中酒不空하면 나는 걱정이 없다」라 하였음。

북해(北海)[초한가라 11 페이지 / 전적]

북쪽 바다.

북해(北海)[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발해(渤海).

북해(北海)[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발해(渤海).

북해(北海)[한흥가라 16 페이지 / 전적]

발해(渤海).

북해상(北海上)[한양가라 14 페이지 / 전적]

북쪽 바닷가 위에. 여기서는 흉노땅을 가리킨다.

북향(北向)[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을 향함.

북향사배(北向四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북쪽을 향해 네 번 절하다.

북향재배(北向再拜)[옥단춘전이라 54 페이지 / 전적]

북쪽을 향하여 두 번 절함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앉아 있기 때문에 임금을 우러르거나 임금의 지시를 받을 때는 북쪽을 향하게 되어 있는 데서 유래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