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통문 송객정[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북통문 송객정(北通門 送客亭)인 듯함.
부파(剖破)[붕우츠회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쪼개어 부숨.
부파(剖破)[도덕구가 2 페이지 / 전적]
쪼개어 부숨.
부판(剖判)[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둘로 갈라 나눔. 둘로 갈려 나누어짐.
부판(剖判)[옥산가라 3 페이지 / 전적]
둘로 갈려 나누어짐. 또는 둘로 갈라 나눔.
부판(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7 페이지 / 전적]
「負∝」―負∝은 즉 蝜蝂인데 虫의 이름임. 柳宗元의 蝜蝂傳에「蝜蝂者 善負小虫也 行遇物 輒持取 仰首負之 負逾重雖困劇不止」라 하였다. 爾雅에는 負版으로 되고 그 ∝에는 「今驗此虫黑身 爲性躁急」이라 했음.
부편수(副片手)[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도편수의 다음 지위에서 그를 돕고 보좌하는 목수.
부편수(副片手)[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도편수의 다음 지위에서 그를 돕고 보좌하는 목수.
부평(浮萍)[츅친서라 4 페이지 / 전적]
부평초(浮萍草)로 개구리밥풀을 말함. 물 위에 떠 있는 풀이다보니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浮萍)[츄억감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부평초.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의 비유.
부평(浮萍)[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부평초(浮萍草)라고도 하며 물 위에 떠 있는 개구리밥풀이라는 뜻.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浮萍)[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부평초(浮萍草). 물 위에 떠 있는 풀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浮萍)[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부평초(浮萍草). 물 위에 떠 있는 풀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浮萍)[가정교훈서(家庭敎訓書) 9 페이지 / 전적]
개구리밥. 여러해살이 수초(水草). 떠돌이 신세를 비유하는 말.
부평(浮萍)[가정교훈서(家庭敎訓書) 9 페이지 / 전적]
개구리밥. 여러해살이 수초(水草). 떠돌이 신세를 비유하는 말.
부평(浮萍)[조심가라 2 페이지 / 전적]
개구리밥. 여러해살이 수초(水草). 떠돌이 신세를 비유하는 말.
부평(浮萍)[시절가 3 페이지 / 전적]
물 위에 떠 있는 풀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浮萍)[벌교사(벌교) 13 페이지 / 전적]
부평초(浮萍草)와 같은 말 물 위에 떠 있는 풀이라는 뜻.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일신(浮萍一身)[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 위에 떠 있는 풀과 같은 한몸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
부평일신(浮萍一身)[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 위에 떠 있는 풀과 같은 한몸이라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