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분상(奔喪)[팔도가 8 페이지 / 전적]

먼 곳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감.

분상(奔喪)[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먼 곳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감.

분서갱유(焚書坑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焚坑」―焚書坑儒의 約稱임. 秦始皇이 李斯의 議를 聽從하여 博士官의 所職이 아닌데도 詩書百家語를 收藏한 자가 있으면 모주리 搜索하여 燒却하였고, 또 始皇은 仙藥을 求得하고자 文學 및 方術士를 많이 徵召했으나 끝내 얻지 못하고 盧生의 무리는 다시 도망해가니 마침내 大怒하여 諸生 四百六十餘人을 咸陽에서 坑殺하였음.

분서갱유(焚書坑儒)[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분서시(焚書時)에[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책을 불태울 때에. 책을 불살라 버림. 흔히 학문이나 지식인을 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하였음.

분서시(焚書時)에[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책을 불태울 때에. 책을 불살라 버림. 흔히 학문이나 지식인을 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하였음.

분서왕(汾西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0 페이지 / 전적]

백제의 제10대 왕(?~304). 낙랑군의 서현(西縣)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낙랑의 자객에게 살해되었다.

분석(分石)[민탄가(民歎歌) 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후 어지러운 국정을 틈타 지방 관리가 환곡에 쭉정이나 돌 등을 섞어 분량을 늘리고 늘어난 분량만큼 곡식을 빼내어 횡령하던 일.

분석(分石)[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지방의 아전들이 환곡에 돌이나 쭉정이를 섞어서 분량을 늘려 곡식을 횡령하던 일.

분성(盆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4 페이지 / 전적]

「盆城」- 金慶老를 말한 것인데 선생의「次盆城金慶老韻」이 있음.

분성적(粉成赤)[사친가2(思親歌(二)) 8 페이지 / 전적]

연지는 많이 쓰지 않고, 분으로 소박하게 꾸미는 신부 화장. 성적(成赤) : 혼인날 신부가 얼굴에 분을 바르고 연지를 찍는 일.

분성적(粉成赤)[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 101 참조.

분성적(粉成赤)[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에 화장할 때에, 연지 따위를 많이 쓰지 아니하고 분(粉)으로 소박하게 꾸밈.

분성적(粉成赤)[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얼굴에 화장할 때에, 연지 따위를 많이 쓰지 아니하고 분(粉)으로 소박하게 꾸밈.

분성적(粉成赤)[신힁가라 9 페이지 / 전적]

얼굴에 화장할 때에, 연지 따위를 많이 쓰지 아니하고 분(粉)으로 소박하게 꾸밈.

분세수(粉洗手)[청춘사연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세수하고 분을 바름.

분세수(粉洗手)[선유가라 17 페이지 / 전적]

세수하고 분을 바름.

분수(分手)[사향곡(향곡) 6 페이지 / 전적]

분몌(分袂)의 다른 말.서로 작별함

분수(分手)[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함께 있다가 헤어짐.

분수(分手)[형졔분슈가 11 페이지 / 전적]

서로 작별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