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불식순환(不息循環)[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 페이지 / 전적]
쉬지 않고 주기적으로 되풀이하여 이어 돎.
불식순환(不息循環)[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9 페이지 / 전적]
쉬지 않고 주기적으로 되풀이하여 이어 돎.
불식전장(不息戰場)[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4 페이지 / 전적]
전쟁을 멈추지 않음.
불신(不信)[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믿지 않다.
불신(佛身)[권왕가 18 페이지 / 전적]
불체(佛體). 부처의 몸.
불실(不失)[통륜가(通倫歌) 3 페이지 / 전적]
잃지 않다.
불실시중(不失時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그 당시의 사정에 알맞음을 잃지 아니함.
불실시중(不失時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그 당시의 사정에 알맞음을 잃지 아니함.
불심(不審)[통륜가(通倫歌) 10 페이지 / 전적]
살피어 아는 것이 자세하지 아니하거나 의심스러움.
불심(佛心)[권왕가 21 페이지 / 전적]
① 자비스러운 부처님의 마음. ② 깊이 깨달아 속세의 번뇌에 흐려지지 않는 마음.
불암(佛嵓)[석천집(石川集二-三)2-3 153 페이지 / 전적]
산 이름. 중국 사천성(四川省) 인수현(仁壽縣) 동쪽에 있다. 일명 불감산(佛龕山)이라고도 했는데, 당(唐)나라 때에 구양순(歐陽詢)이 마애비에 적은 것을 보면, 산에 세 개의 석상이 있는데, 뒤에는 아무것도 없고 앞에는 바위가 있어 도좌사(倒坐寺)라 부른다고 했다. 여기서는 상지(祥之)가 머물고 있는 곳을 일컫는 것이다.
불압(不壓)[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24 페이지 / 전적]
(돌에) 눌리지 않는다.
불앙당[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의 무리인 불한당(不汗黨)을 말함.
불앙당[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의 무리인 불한당(不汗黨)을 말함.
불야성(不夜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1 페이지 / 전적]
「不夜城」-晝夜로 항상 밝음을 말함. 齊地記에「齊에 不夜城이 있는데 옛부터 傳하기를 해가 밤에 나타나 東萊에 비쳤기로 萊子가 이 城을 세워 不夜로 이름을 했다」라 하였음. 蘇頲詩「樓臺絶勝宜春苑 燈火還同不夜城」의 句가 보임.
불야타조(佛也打祖)[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타조(打祖)는 타조법에 따라 거두어들인 현물.
불양 불음(不讓不飮)[삼강오륜가 서 11 페이지 / 전적]
사양하지 않으면 마시지 아니함.
불양(不養)[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봉양하지 않음.
불여귀(不如歸)[권왕가 60 페이지 / 전적]
돌아감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소쩍새 우는 소리를 가리킴.
불여귀(不如歸)[시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감만 못하여라’의 뜻으로, 소쩍새의 우는 소리를 이르는 말. 소쩍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