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불여귀(不如歸)[초한가라 8 페이지 / 전적]

두견새. 망제의 원통함을 비유한 말.

불여귀(不如歸)[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두견이, 두견이 울음소리가 마치 불여귀거(不如歸去)라고 들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불여귀(不如歸)[한흥가라 29 페이지 / 전적]

두견새가 우는 것.

불여귀(不如歸)[한흥가라 29 페이지 / 전적]

두견새가 우는 것.

불여귀(不如歸)[사향곡(향곡) 3 페이지 / 전적]

두견새의 별칭.중국 촉나라 망제(望帝)의 울다 지쳐 죽은 넋이 두견이라는 새가 되어 밤마다 불여귀(不如歸:돌아가고 싶다는 뜻)를 부르짖으며 목구멍에서 피가 나도록 울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어 귀촉도(歸蜀道), 두우(杜宇), 두백(杜魄), 망제혼(望帝魂), 자규(子規), 원조(怨鳥), 촉백(蜀魄), 촉조(蜀鳥), 촉혼(蜀魂) 등 여러 이름을 가진 소쩍새의 울음소리를 뜻함.

불여귀(不如歸)[한흥가라 29 페이지 / 전적]

두견새가 우는 것.

불여귀(不如歸)[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두견이. 두견새.

불여귀(不如歸)[사모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①소쩍새 ②(돌아감만 못 하다의 뜻으로)소쩍새의 우는 소리를 이르는 말

불여귀(不如歸)[유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두견(杜鵑)과 같은 말.

불여귀(不如歸)[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감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예로부터 두견이의 슬피 우는 소리를 두고 이르던말이요, 이는 또한 두견이의 이칭이다. 중국의 촉왕蜀王 망제望帝가 선위하고 도망해 다닐 때에 소쩍새우는 소리가 ‘불여귀거不如歸去’라 하며 울었다는 고사에서 연유한 말임.

불여귀(不如歸)[쳥츈상심곡(쳥츈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두견새 또는 두견새의 울음소리의 의성어.

불여귀(不如歸)[셔유곡 9 페이지 / 전적]

두견(杜鵑). 두견과의 새.

불여귀(不如歸)[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두견(두견과의 새).

불여귀(不如歸)[삼팔가(三八歌) 11 페이지 / 전적]

두견이.

불여귀(不如歸)[망부가 14 페이지 / 전적]

두견이.

불여귀(不如歸)[창덕가2 90 페이지 / 전적]

두견새의 별칭.

불여귀(不如歸)[봉별가 12 페이지 / 전적]

두견이.

불여귀(不如歸)[옥단춘전이라 40 페이지 / 전적]

돌아감만 못하다는 뜻.

불여귀(不如歸)[창덕가2 91 페이지 / 전적]

두견새의 별칭.

불여귀(不如歸)[무제(▩▩▩▩) 11 페이지 / 두루마리]

두견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