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불효불경(不孝不敬)[명륜가(明倫歌) 34 페이지 / 전적]

효도하지도 않고 공경하지도 않음.

불효불공 살하나[복션화음록 24 페이지 / 전적]

불효불공(不孝不恭)으로 패살(敗殺)하나. 불효와 공손하지 못하여 패망하지만.

불효불순(不孝不順)[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효도치 아니하고 공손히 따르지 아니함.

불효불제(不孝不悌)[창덕가2 50 페이지 / 전적]

효도하지 않고 공경하지 않음.

불효불제(不孝不悌)[창덕가2 51 페이지 / 전적]

효도하지 않고 공경하지 않음.

불효자식(不孝子息)[한별곡 43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잘 섬기지 아니하는 자식(子息).

불효지죄(不孝之罪)[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효성스럽게 잘 섬기지 못한 죄.

불효지죄(不孝之罪)[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효성스럽게 잘 섬기지 못한 죄.

불휘황천(不諱黃泉)[이별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피하지 못할 죽음의 황천.

불휼(拂恤)[뎡슝샹회방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달래고 구휼하다.

불흥(不興)[봉별가 21 페이지 / 전적]

일지 않음.

붉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5 페이지 / 전적]

「頳尾」―詩經 周南 汝境에「魴魚赬尾 王室如燬」의 句가 있는데 註에「고기가 피로하면 꼬리가 붉어진다」라 하였음.

붉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8 페이지 / 전적]

「蓂莢」― 그믐과 초하루를 알리는 瑞草인데 위에 보임.

붉은 티끌 세상은 커다란 괴안국이니[석천집(石川集二-二)2-2 169 페이지 / 전적]

순우분이 꿈속에 갔었다는 개미 나라인데, 당나라 때에 이공좌가 지은 <<남가기(南柯記)>>에 나오는 이야기다. 일장춘몽을 뜻한다.

붓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1 페이지 / 전적]

「峽水倒傾」― 文章의 波爛을 말함. 杜甫의 醉歌行에 「詞源倒流三峽水 筆陣獨掃千人軍」이라는 句가 있음.

붓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7 페이지 / 전적]

「珥筆」― 옛날에 史官이 항상 붓을 관 옆에 꽂고 記事에 대비하므로 珥筆이라 이른다 하였음. 曹植의 求通親親表에 「執轡珥筆」이보임.

붓텨[효봉구고치산가 23 페이지 / 전적]

불이 붙어. ‘불이’ 생략된 것 같음. 규방가사 복선화음록(福善禍淫錄)에 ‘불리붓텨 밧시되고’의 용례가 있다.

붕(朋)을[봉션화가 3 페이지 / 전적]

무리를.

붕(鵬)[면앙집(俛仰集 一)1 41 페이지 / 전적]

鵬=莊子에 나오는 大鳥名 南溟 萬里를 一擧에 날아간다 했음

붕당(朋黨)[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4 페이지 / 전적]

이해나 주장 등에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의 결합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