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비(比)해 보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 페이지 / 전적]

비교하거나 견주어 보소.

비(比)해 보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비교하거나 견주어 보소.

비(比)해 보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 페이지 / 전적]

비교하거나 견주어 보소.

비(比)해 보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비교하거나 견주어 보소.

비(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5 페이지 / 전적]

「貞珉」― 刻하여 碑를 만드는 美石을 말한 것임. 汪道會 墨賦에 「鐫鏤貞珉 點畵斷楮」라 하였음.

비(碑)[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8 페이지 / 전적]

삼전도비(三田渡碑)를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 인조 1639년에 한강의 상류인 삼전도(지금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삼전동)에 세운 청(淸)태종의 공덕비임.

비(碑)[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타루비(墮淚碑). 양호(羊祐)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인데 백성들이 그 비만 보면 눈물을 흘렸다고 하여 두예(杜預)가 붙인 비명(碑名).

비(碑)[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타루비(墮淚碑). 양호(羊祐)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인데 백성들이 그 비만 보면 눈물을 흘렸다고 하여 두예(杜預)가 붙인 비명(碑名).

비가강개(悲歌慷慨)[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비분강개(悲憤慷慨)와 같은 말로 슬프고 분하여 의분이 북받침.

비가강개(悲歌慷慨)[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비분강개(悲憤慷慨)와 같은 말로 슬프고 분하여 의분이 북받침.

비각(碑閣)[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

비각단청(碑刻丹靑)[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비석 위에 누각을 세워 단청칠을 함.

비간(比干)[송강집(松江集七)7 66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충신

비간(比干)[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왕실의 종친으로, 포학하고 음란한 주왕(紂王)에게 간하다가 살해당함.

비간(比干)[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9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왕실의 종친으로, 포학하고 음란한 주왕(紂王)에게 간하다가 살해당함.

비간(比干)[서가여래가사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은(殷)의 충신. 주왕(紂王)의 제부(諸父). 주왕의 음란함을 간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기자(箕子)·미자(微子)와 더불어 은(殷)나라의 삼인(三仁)이라 일컬어짐.

비간(比干)[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商)의 정치인. 주왕(紂王)이 폭정(暴政)을 하자, 간언(諫言)하다 살해됨.

비간(比干)[서가여래가사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은(殷)의 충신. 주왕(紂王)의 제부(諸父). 주왕의 음란함을 간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기자(箕子)·미자(微子)와 더불어 은(殷)나라의 삼인(三仁)이라 일컬어짐.

비간(比干)[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商)의 정치인. 주왕(紂王)이 폭정(暴政)을 하자, 간언(諫言)하다 살해됨.

비간(比干)[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상(商)의 정치인으로서 주왕(紂王)이 폭정(暴政)을 하자 간언(諫言)하다 살해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