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결초보은(結草報恩)[츅친서라 3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결초보은(結草報恩)[송강집(松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죽어서까지도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 李密의 陳情表에 「生賞隕首死當結草」

결초보은(結草報恩)[황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결초보은(結草報恩)[이화가젼 10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결초보은(結草報恩)[이화가젼 10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결초보은(結草報恩)[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결초보은(結草報恩)[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결포(結布)[민탄가(民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논밭 1결에 대하여 삼베나 무명 2필을 받던 세법.

결항(結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0 페이지 / 전적]

목숨을 끊기 위하여 목을 매어 닮.

결항(結項)[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1 페이지 / 전적]

목매어 죽음.

결항(結項)[아림가(娥林歌) 28 페이지 / 전적]

목숨을 끊기 위하여 목을 매어 닮.

결항신사(結項身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목매어 죽는다는 뜻.

결항신사(結項身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목매어 죽는다는 뜻.

결항신사(結項身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목매어 죽는다는 뜻.

결항치사(結項致死)[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목을 매어 죽게 함.

결항치사(結項致死)[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목을 매어 죽음.

결항치사(結項致死)[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목을 매어 죽음.

결항치사(結項致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목을 매달아 죽게 됨.

결항치사(結項致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목을 매달아 죽게 됨.

결항치사(結項致死)[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목을 매달아 죽게 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