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견마(犬馬)[삼강오륜가 서 7 페이지 / 전적]

개와 말. 짐승들.

견마(犬馬)[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9 페이지 / 전적]

견마지심의 준말로 신하가 임금에게 충성을 다 하고자 하는 마음.

견마(犬馬)[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9 페이지 / 전적]

개와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견마지치(犬馬之齒)[양친가(養親歌) 7 페이지 / 전적]

개나 말이 일없이 나이만 더하듯이 아무 일 없이 나이만 먹는 일을 말함

견문(見聞)[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여자행신가 17 페이지 / 전적]

보고 들음.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몽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들음.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간양되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여자행신가 17 페이지 / 전적]

보고 들음.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몽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들음.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見聞)[간양되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견문가의[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견문가(見聞家)의. 견문과 식견이 있는.

견문과외[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견문가(見聞家)에. 견문이 있는 집안에서.

견물생심(見物生心)[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견물생심(見物生心)[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견불(見佛)[권왕가 43 페이지 / 전적]

수행이나 신앙의 힘에 의지하여 부처를 얻어 보는 것. 즉, 본디 갖추어진 자기의 불성을 깨닫는 것.

견색(堅塞)[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3 페이지 / 전적]

굳게 막힘.

견성(見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見性」―佛家의 用語인데 自身의 佛性을 뚫어지게 본다는 뜻임. 達摩悟性論에「直指人心 見性成佛」이란 말이 있음.

견성처(見性處)[금강산유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깨달음을 얻은 곳. 견성(見性)은 오도(悟道)·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고도 함. 참 자기를 알게 되는 것, 깨달음이 열리는 것이란 뜻임.

견신(見矧)[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잇몸을 보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