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공부자(孔夫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높임말. 자는 중니(仲尼), 이름은 구(丘)이며, 공자의 ‘자(子)’는 존칭임. 유교(儒敎)의 시조로, 인(仁)을 최고의 덕으로 여김.
공부자(孔夫子)[충효가(忠孝歌) 29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한층 높여 부르는 말.
공부자(孔夫子)[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공부자(孔夫子)[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공자를 높여 부르는 말.
공부자(孔夫子)[옥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를 높여 이르는 말.
공부자(孔夫子)[입추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를 말함.
공부자(孔夫子)[유소가 4 페이지 / 전적]
공자를 높여 이르는 말.
공부자(孔夫子)[고분가 17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
공부자(孔夫子)[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6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공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이자 학자(B.C.551~B.C.479)로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주유하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공부자(孔夫子)[고분가 17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
공부자(孔夫子)[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진나라의 장군으로 무(武)의 아들인 몽염(蒙恬).붓을 만들었다고 함.BC 221년 제(齊)나라를 멸망시킬 때 큰 공을 세움.BC 215년 흉노(匈奴)정벌 때 활약이 컸으며, 이듬해 만리장성을 완성.북쪽 변경을 경비하는 총사령관으로서, 상군(上郡
공부자(孔夫子)[춘몽가(츈몽가) 49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
공부자(孔夫子)[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
공부자(孔夫子)[궁월가라 3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달리 부르는 말.
공부자(孔夫子)[여행록이라(여녹이라) 11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높임말.
공부자(孔夫子)[청춘사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
공부자(孔夫子)[낙수가 7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부르는 말.
공부자(孔夫子)[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공자.
공부자(孔夫子)[춘몽가(츈몽가) 49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
공부자(孔夫子)[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