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공부자(孔夫子)[영산초장이라 4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 공자(孔子)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공부자(孔夫子)[도덕가라 2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 공자(孔子)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공부자(孔夫子)[남은곡 권지단이라 12 페이지 / 전적]
공자의 높임말.
공부자(孔夫子)[역대삼재가라 6 페이지 / 전적]
공자는 노(魯)나라 창평향 추읍(昌平鄕 鄒邑:지금의 山東省 曲阜의 남동)에서 BC 551년에 출생. 자는 중니(仲尼), 이름은 구(丘)이다. 중국 고대의 사상가, 유교의 시조. 최고의 덕을 인이라고 보았다.
공부자님(孔夫子任)[신정도덕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사상가이며, 유교의 개조(開祖)로서 노(魯)나라 창평향 추읍(昌平鄕 謖邑 : 지금의 山東省 曲阜의 남동) 출생이다. 자는 중니(仲尼)이며, 이름은 구(丘)로서 공부자의 ‘부자(夫子)’는 존칭이다.
공부자지(孔夫子之) 성덕(聖德)이 반유현어요순(反有賢於堯舜)이라[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거룩한 덕은 요임금과 순임금의 덕에 어짊이 한층 더 있는 것이라.
공부자지(孔夫子之) 성덕(聖德)이 반유현어요순(反有賢於堯舜)이라[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거룩한 덕은 요임금과 순임금의 덕에 어짊이 한층 더 있는 것이라.
공부[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공부자(孔夫子). 공자(孔子). 춘추시대 때 노(魯)나라 사람이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로 춘추 말에 대사상가이다. 노나라 역사인 춘추를 지었다. 부자(夫子)는 공자의 존칭이고, 후세에 스승이라는 말로 쓰였다.
공북(拱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5 페이지 / 전적]
「拱北」-拱辰과 같은 말인데, 대궐을 가르킨 것임。論語 爲政에「爲政以德 譬如 北辰居其所 而衆星拱之」라 하였음。
공비(共匪)[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5 페이지 / 전적]
공산당의 유격대.
공빈(孔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0 페이지 / 전적]
「孔賓」―元賓의 誤植임. 위의 尹士栗挽에「元賓當日年猶少」란 句가 있음.
공사(供辭)[나부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범인(犯人)이 자신(自身)의 범죄(犯罪) 사실(事實)을 진술(陳述)하는 말.
공사(空事)[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헛된 일. 생각.
공산 낙목(空山落木)[사친가1(思親歌(一)) 2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없는 산중에 나뭇잎이 떨어진 나무. 일부토(一抔土) : 한 줌의 흙이라는 뜻으로 무덤을 가리키는 말.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一坏土’로 되어 있음. (참고 : 가사의 원문 중 속음(俗音)이나 변음(變音)의 표기, 또는 오자 (誤字) 등은 가사의 현대역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그 표기의 예를 이처럼 제시해 둔다. 이하 다른 각주에 드는 낱말의 경우도 이와 같다.)
공산(共産)[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재산(財産)을 공동(共同)으로 가짐 ②공산주의(共産主義)의 준말.
공산(共産)[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재산(財産)을 공동(共同)으로 가짐 ②공산주의(共産主義)의 준말.
공산(共産)[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재산(財産)을 공동(共同)으로 가짐 ②공산주의(共産主義)의 준말.
공산(共産)[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재산(財産)을 공동(共同)으로 가짐 ②공산주의(共産主義)의 준말.
공산(空山)[츅친서라 3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없는 산중.
공산(空山)[석천집(石川集二-五)2-5 133 페이지 / 전적]
쓸쓸한 산중. 사람이 살지 않은 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