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극언(極言)[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는 것
극염(極炎)[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지극한 더위
극위(棘圍)[석천집(石川集二-一)2-1 24 페이지 / 전적]
科試의 場을 말함
극인(棘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2 페이지 / 전적]
「棘人」―喪人을 말함。棘은 急의 뜻인데 哀遽의 狀임。詩經檜風 素冠에 「庶見素冠兮 棘人欒欒兮」라는 句가 있음。
극직회[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알 수 없는 말이지만, 극직회(劇職會)로 본다면, 바쁜 업무 중에 만나게 됨을 뜻한 말인 듯싶다.
극진(極盡)[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를 쓰는 것이 매우 지극함.
극진(極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7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를 씀.
극진(極盡)[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7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를 씀.
극진(極盡)[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7 페이지 / 전적]
힘이나 마음을 다함.
극진(極盡)[합강정가(合江亭歌) 11 페이지 / 전적]
힘이나 마음을 다함.
극진(極盡)하다[오륜가라 39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를 쓰는 것이 매우 지극하다.
극진(極盡)하다[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마음과 힘을 다하여 애를 쓰는 것이 매우 지극하다.
극진봉양(極盡奉養)[사친가1(思親歌(一)) 12 페이지 / 전적]
부모나 조부모를 받들어 섬기는 봉양을 극진히 하는 것.
극진시봉(極盡侍奉)[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극진하게 부모를 모셔 받듦.
극포(極浦)[ 1 페이지 / ]
멀리 바라뵈는 포구. 옥천산에서 내려온 여계천과 용천산에서 흘러온 백탄이 만나는 이수를 굽돌아 나가면 거기에 넓은 모래사장과 포구가 있다는 말인 듯하다.
극히하여[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지극히 하여
근(斤)[반심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무게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고기나 약재 등의 무게를 잴 때의 한 근은 열여섯 냥인 600그램에 해당하고, 과일이나 채소 등의 무게를 잴 때에는 100돈 쭝인 375그램에 해당.
근가(僅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僅可」- 孟子 離婁篇에 「事親 若曾子者可也」라 하였는데 程伊川은 이에 대하여 말하기를 「어찌 증자의 효로써 남음이 있다고 여긴 것이 아니겠는가」(登以曾子之孝 爲有餘哉) 하였음.
근간(勤幹)하게[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근간(勤幹)하게[조심가라 19 페이지 / 전적]
부지런하고 성실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