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근면 방직[효부가 19 페이지 / 전적]
부지런히 베를 짜는 일.
근배(謹拜)[벽천가 12 페이지 / 전적]
삼가 절함이라는 뜻으로. 편지 끝에 자기 이름 아래에 쓰는 말.
근보가성(僅保家聲)[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겨우 집안의 이름이나 보존함.
근보가성(僅保家聲)[창덕가2 19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겨우 가정의 명성을 보전하는 일.
근보가성(僅保家聲)[창덕가2 31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겨우 가정의 명성을 보전하는 일.
근보가성(僅保家聲)[창덕가2 20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겨우 가정의 명성을 보전하는 일.
근보가성(僅保家聲)[창덕가2 32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겨우 가정의 명성을 보전하는 일.
근본(根本)[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근봉(近封)[북쳔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가까운 봉우리.
근부가(謹婦歌)[근부가(謹婦歌) 3 페이지 / 전적]
여자, 아내들이 금해야 하는 사항들을 가사로 만든 노래.
근사(近思)[송강집(松江集三)3 35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때 주희(朱熹) 여조겸(呂祖謙) 두 사람이 같이 주렴계(周濂溪)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장횡거(張橫渠) 네 학자의 언행을 집성한 근사록(近思錄)을 이름.
근사록(近思錄)[궁장가(宮墻歌)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때에 주자와 그 제자인 여조겸이 함께 편찬한 책으로 일상 수양에 필요한 장구(章句) 622조목으로 14부로 분류한 것이다.
근사록(近思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9 페이지 / 전적]
「近思錄」- 책 이름임. 宋 朱熹 呂祖謙의 同撰으로 合十四卷인데 周子, 程子, 張子의 말을 취하여 그 切要한 것을 擇해서十四門으로 分類하였음.
근서(謹書)[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경건한 마음으로 글씨를 씀.
근소(僅少)[여자행신가 5 페이지 / 전적]
아주 적어서 얼마 되지 않음.
근소(僅少)[여자행신가 5 페이지 / 전적]
아주 적어서 얼마 되지 않음.
근수(謹守)[지효가(知孝歌) 3 페이지 / 전적]
조심하고 정성껏 지킴.
근순(謹詢)[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가 물어보다.
근순(謹詢)[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가 물어보다.
근시(近侍)[그리져리구경하고 9 페이지 / 전적]
임금을 가까이서 모시는 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