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계선생(桐溪先生)[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동계 정온(桐溪 鄭蘊, 1569-1641)을 말한다.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휘원(輝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죽었다.
동계선생(桐溪先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신 정온(鄭蘊).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음.
동계선생(桐溪先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신 정온(鄭蘊).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음.
동계선생(桐溪先生)[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신 정온(鄭蘊).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음.
동계선생(桐溪先生)[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기 문신 정온(鄭蘊).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음.
동계선생(桐溪先生)[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기 문신 정온(鄭蘊). 병자호란 때 이조참판으로서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거하다가 5년 만에 죽음.
동고(東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기 중종, 명종, 선조 때의 문신. 우·좌·영의정 등을 지냈다. 선조 즉위 후 원상(院相)을 지냈다. 사화로 억울한 피해를 당한 사람들을 서용 또는 신원하였다. 죽을 때 붕당이 있을 것을 예언한 내용의 유소를 올려 규탄 받았으나, 뒤에 동서분당이 실제 일어나 예언이 적중했다. 저서는《동고유고》,《조선풍속》 등이다.
동고낙지(同苦樂之)[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고락을 같이 하는 것. 동고동락(同苦同樂).동고동락(同苦同樂) :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 함.
동고락(同苦樂)[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이 고생(苦生)하고 즐김.
동곳[한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투를 튼 뒤에 풀어지지 않게 꽂는 물건
동곳[옥단춘전이라 38 페이지 / 전적]
상투를 튼 뒤에 그것이 다시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꽂는 물건. 금ㆍ은ㆍ옥ㆍ산호ㆍ밀화ㆍ나무 따위로 만드는데, 대가리가 반구형이고 끝은 뾰족하여 굽은 것과 굽지 않은 것, 또는 말뚝같이 생긴 것 따위가 있음.
동공일체(同功一體)[명륜가(明倫歌) 80 페이지 / 전적]
‘일의 공효(功效)가 서로 같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형제가 함께 함’을 뜻함.
동공일체(同功一體)[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1 페이지 / 전적]
같은 공로를 세워 같은 지위에 있음.
동과(同科)[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0 페이지 / 전적]
부자 형제가 같이 과거에 오르다.
동과가(諌過歌)[광애가(廣愛歌) 7 페이지 / 전적]
허물을 말하는 노래.
동과가(諌過歌)[동과가(諌過歌) 1 페이지 / 전적]
허물을 말하는 노래.
동곽의 신발을[석천집(石川集二-二)2-2 203 페이지 / 전적]
(동곽선생은) 다 해진 옷을 입고 다녔고, 신도 제대로 된 것을 신지 못하였다. 그는 눈 위를 다닐 때에 위의 껍질만 있고 바닥은 없는 신을 신어서, 맨발로 땅을 밟고 다녔다. -<<사기>> 제126 <골계열전>
동관(東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漢時에 設置한 宮中의 ∝書處임. 安帝가 五經博士에게 詔하여 東觀五經博子傳記 및 百家∝術을 校定하게 하였음.
동관(東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0 페이지 / 전적]
「東觀」-漢나라 때에 官中의 藏書處임。安帝가 五經博士에게 詔하여 東觀의 五經諸子記와 百家藝術을 校定하게 하였음。
동관대궐[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동궐(東闕). 경복궁(景福宮)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昌德宮)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