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민망(憫惘)[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8 페이지 / 전적]

답답하고 딱하여 안타까움.

민망(憫惘)[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근심이 되어 정신이 하나도 없는 모양.

민망(憫惘)하다[흥비가 11 페이지 / 전적]

답답하고 딱하여 안타깝다.

민망안[상사곡가사(상곡가사) 6 페이지 / 전적]

민망한 아내.

민망히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5 페이지 / 전적]

「許止」- 春秋 昭公 十九年의 經에 『許世子止 弑其君 買』라 하였는데 正義에 實로 弑는 아닌데도 弑를 加한 것은 止가 아비를 섬김에 있어 藥物을 함부로 自用한 때문이다.藥은 마땅히 醫를 믿어야 하며 스스로 처방해서는 안된다」하였음.이는 止가 단독으로 進藥하고 醫을 경유하지 않는 까닭으로서다.

민머리[회경가 16 페이지 / 전적]

정수리까지 벗어진 대머리를 이르는 말

민면(黽勉)[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부지런히 힘씀.

민멸(泯滅)[녁대가(녁가) 31 페이지 / 전적]

자취나 흔적이 아주 없어짐.

민무거산(民無擧散)[심심가(尋心歌) 45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이 뿔뿔이 흩어지는 일이 없음.

민무거산(民無擧散)[심심가(尋心歌) 45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이 뿔뿔이 흩어지는 일이 없음.

민민(旼旼)[육십회갑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화락한 모양

민박(憫迫)[리행소챙가 64 페이지 / 전적]

근심이 닥쳐옴.

민석어[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민어(民魚)를 뜻하는 것으로 보임.

민손(閔損)[만고가라 12 페이지 / 전적]

중국 노(魯)나라 때 유학자로 자는 자건(子騫)이다.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효행이 뛰어났다.

민손(閔損)[효행록이라(효록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노(魯)나라 때 유학자로 자는 자건(子騫)이다.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효행이 뛰어났다.

민신(閔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4 페이지 / 전적]

조선 초기의 문신(?~1453)으로 호는 둔암(遯菴)이다. 문종 때 이조 판서로 있다가, 단종 1년(1453) 계유정난 때 김종서의 일파라 하여 수양 대군에게 피살되었다.

민신(閔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 초기의 문신(?~1453)으로 호는 둔암(遯菴)이다. 문종 때 이조 판서로 있다가, 단종 1년(1453) 계유정난 때 김종서의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에게 피살되었다.

민심소동(民心騷動)[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민심이 놀라 흥분하여 소란을 피우는 일.

민안(民安)[태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이 편안함.

민암(民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民巖」- 書經 召誥에 「用顧畏于民碞」이란 대문이 있는데 그註에 「民碞은 民의 碞險을 말한 것이라」하였음 碞과 巖은 通用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