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다가오는 일.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닥쳐 올 일.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92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닥쳐 올 일.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다가오는 일.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88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닥쳐 올 일.

말래지사(末來之事)[창덕가2 93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닥쳐 올 일.

말래지사(末來之事)[흥비가 3 페이지 / 전적]

일의 마지막에 도달함. 미래의 일.

말릉(秣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8 페이지 / 전적]

「秣陵」地名인데 지금 南京의 市地임.晋 太康初에 建業으로써秣陵을 만들었음.

말리마커 할수업고[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말이 막혀 할 수 없고.

말마역(末馬驛)[한흥가라 81 페이지 / 전적]

고유명사가 아니라, 하루 일정의 마지막 역소라는 의미.

말말끝[김씨효행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이런 말 저런 말을 하던 끝.

말밥[간양되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좋지 못한 이야기의 대상.

말밥[간양되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좋지 못한 이야기의 대상.

말법(末法)[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법말(法末). 삼시(三時)의 하나로서, 불법이 다한 뒤에 올 악독하고 어지러운 세상. 곧, 석가가 죽은 뒤 정법(正法) · 상법(像法) 다음에 오는 시기.

말분(末分)[조심가라 24 페이지 / 전적]

늙바탕, 늘그막. 초분, 중분에 대응되는 단어인 후분(後分)을 가리키는 듯함. 후분(後分)은 사람의 평생을 셋으로 나눈 것의 마지막 부분. 늙은 뒤의 운수나 처지를 이름.

말분(末分)[조심가라 24 페이지 / 전적]

늙바탕, 늘그막. 초분, 중분에 대응되는 단어인 후분(後分)을 가리키는 듯함. 후분(後分)은 사람의 평생을 셋으로 나눈 것의 마지막 부분. 늙은 뒤의 운수나 처지를 이름.

말새[환무자탄가 33 페이지 / 전적]

말하는 태도.

말석(末席)[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좌석의 차례에서 맨 끝 자리.

말세(末世)[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정치, 도덕, 풍속 따위가 쇠퇴하여 끝이 다 된 세상.

말세(末世)[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정치, 도덕, 풍속 따위가 쇠퇴하여 끝이 다 된 세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