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논재(論財)[근혼가(謹婚歌) 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논함.
논전(論戰)[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논쟁.
논전(論戰)[헌수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논쟁.
논척(論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8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져 물리침.
논척(論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옳고 그름을 따져 물리침.
놀란 뱀[석천집(石川集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懷素의 草書는 놀란 뱀이 풀에 들어간 듯하다고 했다
놀랍게도 들사슴이 궁안의 꽃을 입에 물었읍니다[송강집(松江集三)3 28 페이지 / 전적]
오(吳)나라 망한 후 그 궁전터에서 들사슴이 꽃을 따먹었으므로 나라가 망한 것을 의미함.
놀음[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음놀이’와 같은 말로 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일.
놀음[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놀음[남여동락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놀이.
놈안난아라[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높이 알게 되느니라.
놉픈뫼[ 1 페이지 / ]
높은 산에. ‘뫼‘는 산의 뜻이다.
놋대[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노(櫓). 물을 해쳐 배를 나아가게 하는 기구.
놋반[동상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놋으로 만든 쟁반.
농(籠)[벽천가 11 페이지 / 전적]
버들채나 싸리채 등으로 함같이 만들어 종이로 바른 상자. 옷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데 쓴다.
농(籠)[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들채나 싸리채 따위로 함같이 만들어 종이로 바른 상자로 옷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데 사용한다.
농공(農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농사짓는 일.
농권(弄權)[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권력을 마음대로 함부로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