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농용팔정(農用八政)[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를 다스리는 데 8가지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주서(周書)』홍범편(洪範篇)에 나온다.
농용팔정(農用八政)[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를 다스리는 데 8가지 정책을 말하는 것으로 『주서(周書)』홍범편(洪範篇)에 나온다.
농우(農牛)[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농사일에 부리는 소.
농우(農牛)[아림가(娥林歌) 30 페이지 / 전적]
농사일에 부리는 소.
농월(弄月)[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달을 바라보고 즐김.
농장(弄璋)[송강집(松江集二)2 193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아들을 낳았을 때 축하하며 쓰는 말. 詩經 小雅 斯干篇에「乃生男 子載寢之床載衣之裳載弄之璋」
농장(弄璋)[리행소챙가 46 페이지 / 전적]
.
농장(弄璋)[리행소챙가 49 페이지 / 전적]
아들을 낳음.
농장(弄璋)[칠여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농장지경(弄璋之慶)의 준말. 아들을 낳은 즐거움.
농장지경(弄璋之慶)[환행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함.
농장지경(弄璋之慶)[환행가 3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함.
농정(農丁)[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농사짓는 남자.
농중(籠中)[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새장 속.
농중(籠中)[신힁가라 19 페이지 / 전적]
새장 안이라는 뜻으로, 속박되어 자유롭지 못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농중지금(籠中之禽)[셔유곡 9 페이지 / 전적]
새장 안의 새. 얽매여 자유가 없는 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농촌궁민(農村窮民)[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농촌의 궁핍한 백성.
농춘화접(弄春花蝶)[명륜가(明倫歌) 67 페이지 / 전적]
봄날에 자태를 뽐내는 꽃과 나비.
높낮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0 페이지 / 전적]
「差池羽」―제비의 깃을 말함. 詩經 衛風 燕燕 「燕燕于飛 差池其羽」라는 句가 있음.
높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0 페이지 / 전적]
「䗀嶒」-山高貌임. 杜甫詩에 『西嶽崚嶒聳處尊 諸峯羅列似兒孫』의 句가 있음.
높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36 페이지 / 전적]
「一拳石」-中庸二十六章에 「今夫山 一卷石之多」라는 대문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