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명양강재(明良康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93 페이지 / 전적]

書經 皐陶謨에 「皐陶乃□載歌日 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라는 대문이 있으므로 이를 略稱하여 明良康哉라 한 것임.

명업잔[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명하편(明河篇)으로 보임. 중국 당나라 때 시인인 송지문(宋之問)의 대표작으로, 은하수를 바라보기만 할 뿐 가까이 할 수 없음을 한탄하는 내용임.

명연 츈삼월[효봉구고치산가 24 페이지 / 전적]

명년(明年) 춘삼월(春三月).

명연담(鳴淵潭)[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울소라고도 함. 금동거사가 나옹선사와의 내기에서 지자 스스로를 부끄러워하며 뛰어 들어 자결했다는 전설이 있음.

명월 노화(明月蘆花) 추강상(秋江上)[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휘영청 밝은 달 아래 갈꽃이 피어있는 가을 강 물 위.

명월 삼경(明月三更)[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밝은 달 떠있는 한밤중.삼경(三更) : 한밤중. 삼고(三鼓). 병야(丙夜).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셋째의 시각. 밤 11 시부터 새벽 1 시까지의 동안.

명월(明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4 페이지 / 전적]

「明月寶璐」― 明月은 구슬 이름인데, 그 夜光이 明月과 같아서 이름이 되었고, 寶璐는 美玉임.楚辭九章 涉江에 「被明月兮佩寶璐」라 하였음.

명월(明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7 페이지 / 전적]

「明月珮」- 明月珠로 珮를 했다는 말임. 楚辭九章 涉江에「被明月兮 佩寶璐」라 했고 註에 「明月은 珠名이다」하였음.

명월(明月)[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밝은 달.

명월(明月)[낙향이별가 4 페이지 / 전적]

밝은 달.

명월고주(明月孤舟)[팔도안희가 12 페이지 / 전적]

밝은 달 외로운 배라는 뜻으로 늙어 의지할 곳 없는 비참한 신세를 뜻하기도 한다.

명월노화(明月蘆花)[신힁가라 19 페이지 / 전적]

달빛 비추는 갈대꽃밭.

명월사창(明月紗窓)[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2 페이지 / 전적]

밝은 달빛이 비치는 비단 창문.

명월사창(明月紗窓)[이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밝은 달이 비춰 드는 깁으로 바른 창.

명월사창(明月紗窓)[상사가라 7 페이지 / 전적]

달빛이 밝게 비쳐드는 비단 창문.

명월주(明月珠)[답긔슈가 4 페이지 / 전적]

밤에 광채를 발하는 구슬.

명월지주(明月之珠)[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옛날에 유명한 보옥(寶玉)인 야광주(夜光珠)의 별칭.

명월편(明月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3 페이지 / 전적]

「明月篇」―蘇軾의 赤壁賦에「誦明月之詩 歌窈窕之章」이라 했는데, 詩經 陳風 月出篇을 말한 것임.

명유(名儒)[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이름난 선비.

명의(名義)[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①명분(名分)과 의리(義理) ②문서(文書) 상(上)의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