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무소불위(無所不爲)[명륜가(明倫歌) 14 페이지 / 전적]

하지 못하는 것이 없음.

무수(無數)[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수도 없이 많다.

무수(無數)[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이루 셀 수 없을 만큼 수효가 많음.

무수(無數)하다[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다.

무수(無數)하다[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다.

무수(舞袖)[축산별곡 8 페이지 / 전적]

춤추는 사람, 혹은 그 옷소매.

무수자책(無數自責)[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계속 스스로를 책망함.

무수자책(無數自責)[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계속 스스로를 책망함.

무수질병(無數疾病) 물약자효(勿藥自效)[경화가(警和歌) 41 페이지 / 전적]

셀 수 없이 많은 질병에도 약이 없어도 스스로 효과가 있음.

무수질병(無數疾病) 물약자효(勿藥自效)[경화가(警和歌) 41 페이지 / 전적]

셀 수 없이 많은 질병에도 약이 없어도 스스로 효과가 있음.

무수하나[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무수(無數)하지만. 수없이 많지만.

무숙설茂叔說[ 1 페이지 / ]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 무숙은 그의 자자이다.

무술년[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1958년으로 추정됨.

무슨 턱에[명륜가(明倫歌) 95 페이지 / 전적]

어디다 대고.

무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1 페이지 / 전적]

「憑陵」―憑陵과 같은데 세력을 믿고 남을 능멸한다는 뜻임. 李華의 吊古戰場文에「憑陵殺氣 以相剪屠」라 했음.

무시(無時)[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무 때나.

무시(無時)[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아무 때나.

무시(無時)[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상시(無常時). 일정한 때가 없음.

무시(無時)[환무자탄가 21 페이지 / 전적]

아무 때.

무시(無視)[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8 페이지 / 전적]

①존재(存在)나 있는 값어치를 알아주지 아니함 ②사람을 깔보거나 업신여김 ③눈여겨 보지 않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