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봉사손(奉祀孫)[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6 페이지 / 전적]

제사를 받드는 자손.

봉사손(奉祀孫)[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7 페이지 / 전적]

제사를 받드는 자손.

봉사접빈(奉事接賓)[해몽가라(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웃어른을 받들어 섬기고, 손님을 접대함.

봉사접빈(奉祀接賓)[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제사를 모셔 받들고 손님을 맞이함.

봉산(蓬山)[송강집(松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옥당(玉堂)의 별칭.

봉산(蓬山)[송강집(松江集二)2 59 페이지 / 전적]

봉래산(蓬萊山)인데 옥담(玉堂)을 지칭한 것.

봉산관(蓬山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5 페이지 / 전적]

讀書堂으로 즉 湖堂을 말한 것임 見上.

봉상(捧上)[심심가(尋心歌) 4 페이지 / 전적]

물품 따위를 바침.

봉상(捧上)[심심가(尋心歌) 4 페이지 / 전적]

물품 따위를 바침.

봉상(捧上)[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금전이나 물품 따위를 수납하는 일.

봉상왕(烽上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1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14대 왕(?~300). 이름은 상부(相夫)ㆍ삽시루(歃矢婁). 일명은 치갈왕(雉葛王). 창조리를 국상(國相)에 등용하여 2년(293)과 5년(296)에 중국 연나라 모용외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나, 사치와 방탕에 빠져 폐위되었다.

봉상주(奉常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0 페이지 / 전적]

「奉常酒」―奉常寺의 畧稱인데 宗廟의 禮儀를 관장한 곳임.

봉생(奉生)[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살아 계실 때 봉양함.

봉생암(鳳生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5 페이지 / 전적]

「鳳生巖」― 州의 南山에 있는데 신라의 政化가 淳厚하고 아름다워 鳳鳥가 岩上에 나라와 울었다. 그래서 이름이 됨과 동시에 나라사람이 노래를 지어 아름답게 여겼음.

봉서(封書)[옥단춘전이라 33 페이지 / 전적]

겉봉을 봉한 편지.

봉서(封書)[두껍전이라(겁젼이라) 21 페이지 / 전적]

겉을 봉한 편지.

봉서(封書)[슈양가 5 페이지 / 전적]

겉을 봉한 편지.

봉석주(奉石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전기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인(? - 1465)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었다. 사육신 중 한사람인 박팽년의 형수 해평 윤씨를 노비로 삼았다가 곧 첩으로 삼았다.

봉선적인(奉先適人)[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선조를 받들며 남에게 시집을 가다.

봉선화(鳳仙花)[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