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봉실봉실[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 없이 조금 입을 벌리고 예쁘장하게 자꾸 웃는 모양.

봉심(奉審)[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명(命)으로 능이나 묘를 보살피던 일을 말한다.

봉심(奉審)[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2 페이지 / 전적]

왕명에 따라 능(陵)이나 묘(墓)를 살피는 일.

봉심(奉審)[지리산이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명을 받들어 능소나 묘우를 보살핌.

봉심(蓬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蓬心」―莊子 逍遙遊에 「夫子猶有蓬之心也夫」라 했는데, 向註에 「蓬者短暢 曲士之謂」라 하였음.

봉심(蓬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7 페이지 / 전적]

「蓬心」- 莊子에 「夫子 猶有蓬之心也夫」라 하였고, 註에 「蓬이란 것은 直逹의 物이 아니니 曲士를 稱함이다」라 하였음.

봉악(峯岳)이 은면(隱面)하고[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봉황새가 졸고 있는 모양.

봉안(鳳眼)[초씨션원쳥음가 3 페이지 / 전적]

봉황의 눈같이 가늘고 길며 눈초리가 위로 째지고 붉은 기운이 있는 눈. 귀상(貴相)으로 여김.

봉안제[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봉양(奉養)할 때.

봉액(縫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 페이지 / 전적]

「縫掖」- 縫腋이라고도 쓰는데 소매아래우 겨드랑을 縫合한 옷으로 지금의 道袍와 같음. 後漢書 輿服志에『禮記「孔子衣縫掖之衣」縫掖 其袖合而縫大也 近今袍者也』라 하였음.

봉양(奉養)[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봉양(奉養)[만수가(만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봉양(奉養)[만수가(만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봉양(奉養)[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봉양(奉養)[삼팔가(三八歌) 13 페이지 / 전적]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봉양(奉養)[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를 받들어 모시고 섬김.

봉양(奉養)[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3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를 받들어 모시고 섬김.

봉양(奉養)[연행별곡(연별곡) 1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를 받들어 모시고 섬김.

봉양(奉養)[연행별곡(연별곡) 23 페이지 / 전적]

어버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를 받들어 모시고 섬김.

봉양구고(奉養救姑)[회경가 14 페이지 / 전적]

시어른을 잘 모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