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불원천리(不遠千里)[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7 페이지 / 전적]
천리를 멀다 않고.
불원천리(不遠千里)[상사곡이라 4 페이지 / 전적]
천리를 멀다않고.
불원천리(不遠千里)[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천리를 멀다 않고.
불원천리(不遠千里)[축원하온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천 리 길도 멀다고 여기지 않음.
불월(佛月)[권왕가 18 페이지 / 전적]
부처의 광명을 달에 비유해서 이름. 중생의 마음이 맑아야 부처가 이에 응해서 나타나는 일.
불위(不違)[신도가(臣道歌) 6 페이지 / 전적]
어기지 아니함.
불위농시(不違農時)[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지을 때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적절한 시기에 때를 놓치지 않고 농사일을 하도록 해 주는 것을 일컫는다.
불위농시(不違農時)[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농사지을 때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적절한 시기에 때를 놓치지 않고 농사일을 하도록 해 주는 것을 일컫는다.
불율(不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4 페이지 / 전적]
붓의 異名임. 爾雅 釋器에 「不律은 붓을 이름이다」라 했고 說文에 「楚에서는 聿이라 이르고 吳에서는 不律이라이르고 燕에서는 弗이라 이르고 또 秦에서는 筆이라 이른다」라 하였음.
불을어[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불을 일으켜. 찬수취화(鑽燧취화), 찬수개와(鑽燧改火). 옛날에 불을 취하는 방법으로 쇠(부싯돌)을 문질러 불을 일으키는 금수(金燧)와 나무를 문질러서 불을 일으키는 목수(木燧), 두 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마찰을 일으키는 ‘문지르다’는 말에 해당하는 ‘찬(鑽)’ 뚫을 찬자이기 때문에 ‘어>뚤어’라고 쓴 것이다.
불의 행사(不義行詐)[회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의리에 벗어나게 거짓을 행하는 것.
불의(不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不疑」―漢 直不疑는 南陽사람인데 文帝를 섬겨 벼슬이 太中大夫에 이르렀다. 어떤 사람이 直不疑를 헐뜯어 말하기를「不疑가 狀貌는 심히 아름다우나 유독 그가 盜嫂를 잘함에는 어찌하랴」하니 不疑는 듣고서 말하기를「나는 본래 말이 없다」하였다 그리고 끝내 스스로 해명하지는 않았다함. 史記 直不疑列傳에 보임
불의재변(不意災變)[시절가 21 페이지 / 전적]
예상치 못한 재앙과 변고.
불의지변(不意之變)[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뜻밖에 당한 변고.
불의지변(不意之變)[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뜻밖에 당한 변고.
불의지사(不義之事)[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6 페이지 / 전적]
의롭지 못한 일.
불의지사(不義之事)[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의롭지 못한 일.
불의지사(不義之事)[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의롭지 못한 일.
불의지사(不義之事)[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의리(義理), 도의(道義), 정의(正義) 따위에 어긋나는 일.
불의지사(不義之事)[론학가권지일 13 페이지 / 전적]
의리(義理), 도의(道義), 정의(正義) 따위에 어긋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