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계인(鷄人)[송강집(松江集一)1 91 페이지 / 전적]
관명(官名)인데 새벽이 되면 백관(百官)을 불러서 깨우는 직임. 王緯의 詩에 「綾幘鷄人報曉籌」
계자(桂子)[석천집(石川集二-五)2-5 134 페이지 / 전적]
계수나무의 열매. 이 시에서는 달 속에 계수나무가 있다는 전설을 생각하여 달빛이 창 앞에 비치는 것을 형용하기 위해 취한 어휘로 생각된다.
계자桂子[ 1 페이지 / ]
계수나무 열매.
계자桂子[ 1 페이지 / ]
계수나무 열매
계자천향(桂子天香)[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의 계수나무 향기.
계자천향(桂子天香)[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의 계수나무 향기.
계자천향운표표(桂子天香雲飄飄)[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달 속의 계자 그 천향은 구름에 떠서 가볍게 날리 네. 이는 송지문(宋之問)의 시 <영은사靈隱寺>에 나오는 “桂子月中落 天香雲外飄”에서 연유한 시구임. 계자(桂子) : 계수나무의 열매. 천향(天香) : 뛰어나게 좋은 향기. 표표(飄飄) : 나부끼거나 날아오르는 모양이 가벼움.
계적(桂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6 페이지 / 전적]
桂籍」- 文科의 名籍을 말함. 蘇軾詩에「飛騰桂籍他年事」의 句가 있음.
계전오엽 추성언(階前梧葉 秋聲焉)[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뜰 앞 오동나무의 잎에 가을 소리가 들린다는 말로 세월이 덧없이 빨리 흘러간다는 뜻을 지니고 있음
계절성덕[팔역가(八域歌) 42 페이지 / 전적]
끊긴 대를 이어주는 성스러운 덕
계제(階梯)[원유가(遠遊歌) 2 페이지 / 전적]
사닥다리라는 뜻으로,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계좌정향(癸坐丁向)[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묏자리나 집터가 계방(癸方)을 등지고 정방(丁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계좌정향(癸坐丁向)[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묏자리나 집터가 계방(癸方)을 등지고 정방(丁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계주(薊州)[연행별곡(연별곡) 29 페이지 / 전적]
계주성(薊州城), 어양성(漁陽城)이라고도 하는데 이제묘 서쪽 30리에 있음.
계주에게[석천집(石川集二-二)2-2 146 페이지 / 전적]
사마계주(司馬季主)는 초나라 사람인데, 장안 동쪽 시장에서 점을 쳤다.-<<사기>> <일자전(日者傳)>
계주유유거년흔(繫舟惟有去年痕)[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6 페이지 / 전적]
매어 둔 낚싯배에 지난해의 흔적이 남아 있어. 당나라 문인인 하지장(賀知章)이 지은 「채련곡(採蓮曲)」의 한 구절임.
계지(戒之)[부덕가(婦德歌) 4 페이지 / 전적]
경계함.
계진(季珍)[석천집(石川集二-三)2-3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때의 문신 김언거(金彦琚)의 자(字). 호는 칠계(漆溪), 또는 풍영정(風詠亭).
계진, 여수[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52 페이지 / 전적]
계진은 청연 (靑蓮) 이후백 (李後白)의 자이고, 여수는 미상함
계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婦言是甘」- 紂가 愛妾 妲己의 말만 잘들으며 奇技淫巧를 만들어 그를 즐겁게 하는 때문에 武王은 牝鷄晨鳴에 비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