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계집[노정가라(노졍기라) 20 페이지 / 전적]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계찰(季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3 페이지 / 전적]
「吳季子」―春秋時代 吳王 壽夢의 少子로 이름은 札인데 어질다는 이름이 있었다.壽夢이 王位를 물려주고자하니 사양하고받지 않아서 마침내 延陵에 封하고 인하여 延陵季子라 불렀다.季子는 上國을 歷聘하여 當世의 어진 士大夫들을 두루 사귀었으며 일찌기 魯를 聘問하여 周의 樂을 觀하고 列國의 治亂興衰를 알았으며 徐에 지나니 徐君이 季札의 劒을 좋아하면서도 감히 달난 말을 못하므로 季子는 짐작했으나 上國에 사신가는 길이라 드리지 못했다.돌아오는 길에 들리니 徐君은이미
계찰(季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5 페이지 / 전적]
「李札觀周」-春秋時代 吳王 壽夢의 小子인데 어질다는 이름이 있어 壽夢은 왕으로 세우고자 했으나 사양하고 받지 아니하므로 延陵에 封하여 延陵李子라 號하였다. 季子는 上國을 歷聘하여 당세의 賢士大夫들을 두루 사귀었으며 일찌기 魯에 가서 周樂을 구경하고 列國의 治亂興衰를 알아맞힌 사실이 있음.
계찰(季札)[석천집(石川集二-三)2-3 20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오왕(吳王) 수몽(壽夢)의 아들. 어려서부터 어질다는 명성이 있었으므로 수몽이 왕자리를 물려주려 했으나 사양하므로 연릉(延陵)에 봉해졌다. 때문에 연릉계자(延陵季子)라 불렸다. 그는 여러나라에 초빙되어 당세의 어진 사대부들과 친교를 맺었는데, 일찍이 노(魯)나라에 초빙되어 주악(周樂)을 들어보고 여러나라의 치란(治亂)과 흥망성쇠를 알아냈다.
계책(計策)[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꾀나 방법을 생각해 냄.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7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8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7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0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립극(繼天立極)[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뜻을 이어 법도를 세움.
계천입극[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8 페이지 / 전적]
각주3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