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곽분양(郭汾陽)[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의 명장(名將)인 곽자의(郭子儀). 하남성(河南省) 정현(鄭縣) 사람으로,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안록산의 난을 토벌하여 하북의 10여 군을 회복하였고, 숙종·대종 때에 토번(吐蕃)을 쳐서 많은 공을 세우고 사도(司徒)·중서령(中書令)에 이어 분양왕(汾陽王)으로 봉해졌음. 그래서 그를 곽분양(郭汾陽)이라고 부름. 부귀공명과 다복을 누렸다고 하며, 이것 때문에 팔자 좋은 사람을 ‘곽분양 팔자’라고 함.

곽분양(郭汾陽)[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의 명장(名將)인 곽자의(郭子儀). 하남성(河南省) 정현(鄭縣) 사람으로,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안록산의 난을 토벌하여 하북의 10여 군을 회복하였고, 숙종·대종 때에 토번(吐蕃)을 쳐서 많은 공을 세우고 사도(司徒)·중서령(中書令)에 이어 분양왕(汾陽王)으로 봉해졌음. 그래서 그를 곽분양(郭汾陽)이라고 부름. 부귀공명과 다복을 누렸다고 하며, 이것 때문에 팔자 좋은 사람을 ‘곽분양 팔자’라고 함.

곽분양(郭汾陽)[로인가 7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忠臣). 백명의 자식과 천명의 손자를 거느려 오복의 상징으로 여겨짐.

곽분양(郭汾陽)[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작자 연대 미상의 고대소설 곽분양전의 주인공. 영웅적 행적과 높은 공을 세우고 영화를 누리는 운명적 권선징악의 내용.

곽분양(郭汾陽)[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이름은 자의(子儀)로, 당(唐) 나라 현종(玄宗)ㆍ숙종(肅宗) 때 사람.한 몸으로 천하의 안위를 맡게 됨이 20여 년이었으며 벼슬이 태위(太尉)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고 분양군왕(汾陽群王)을 봉하여 세상에서 곽분양(郭汾陽)이라 명칭한다.

곽분양(郭汾陽)[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이름은 자의(子儀)로, 당(唐) 나라 현종(玄宗)ㆍ숙종(肅宗) 때 사람. 한 몸으로 천하의 안위를 맡게 됨이 20여 년이었으며 벼슬이 태위(太尉)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고 분양군왕(汾陽群王)을 봉하여 세상에서 곽분양(郭汾陽)이라 명칭한다.

곽순(郭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중종, 인종 때의 문신. 인종 즉위 후 소윤과 대윤 간의 세력 투쟁이 첨예화되어 시국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렸다. 명종 때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장살되었다. 선조 때 복관되었다.

곽영[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 페이지 / 전적]

조선중기의 무신이다. 임란 시 전라도방어사로서 용인, 금산 전투에 참가했으나 패하였다.

곽자의(郭子儀)[녁대가(녁가) 58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 때의 명장(名將). 하남성(河南省) 정현(鄭縣) 사람으로, 분양왕(汾陽王)으로 봉해져서 곽분양(郭汾陽)이라고도 함.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안록산의 난을 토벌하여 하북(河北)의 10여 군을 회복하였음.

곽자흥(郭子興)[녁대가(녁가) 62 페이지 / 전적]

중국 원(元)나라 말기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나라 말기에 홍건도로 군사를 일으켰는데 이때 주원장이 그의 군문에 참가해 여러 번 공을 세웠음. 주원장의 협력으로 여러 차례 원군(元軍)을 격파했으나 내분이 그치지 않아 항상 근심하였다고 함.

곽재우(郭再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의병장(1552~1617).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임진왜란 때 의령(宜寧)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 다시 의병장으로 출전하였다. 그 뒤 진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따위를 지냈다.

곽재우(郭再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의병장(1552~1617).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임진왜란 때 의령(宜寧)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 다시 의병장으로 출전하였다. 그 뒤 진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따위를 지냈다.

곽종석(郭鍾錫)[막소가(莫笑歌) 15 페이지 / 전적]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파리장서의 민족대표로 계화도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하지만 파리장서사건으로 말미암아 재판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병보석으로 계화도로 돌아왔으나 이내 생을 마감하였다.

곽태(郭泰)[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의 사상가. 굴백언(屈伯彦)에게 사사하여 전적(典籍)에 통달함. 뤄양[洛陽]에 가서 당시 하남윤(河南尹:뤄양 지방 장관) 이응(李膺)과 깊이 교제하며 명성을 떨침.

곽해(郭解)[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56 페이지 / 전적]

전한 무제 때의 협객(俠客)으로 자(字)는 옹백(翁佰)이며 지현 (軹縣)출신. 신체가 왜소하였으나 호협(豪俠)을 좋아하여 증오하는 인물이 있으면 반드시 살해하곤 하였으나, 뒤에는 행실을 고쳐 공손하였으므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마침 그의 문객(門客)이 지현 출신의 유생(儒生)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사실 곽해 자신은 그 사건과 무관하였으나 국법을 확립하여야 한다는 조정의 의논으로 대역무도조(大逆無道罪)로 처형되었다. 그 후 춘추 ,전국 시대로부터 유행하던 협객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漢書 卷九十二 遊倈列傳》

곽후(郭后)[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왕비인 성통(聖通)을 말함. 외척이 권력을 농단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곽후를 폐하였음.

곽희[석천집(石川集二-五)2-5 62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때의 화가인데 산수화를 이성(李成)한테서 배워선 묘(妙)를 얻은 한편 웅장한 멋을 겸비했다고 한다.

곽희(郭熙)[석천집(石川集二-四)2-4 40 페이지 / 전적]

中國 北宋代의 유명한 山水畵家.

곽희로[석천집(石川集二-二)2-2 163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시인인데, 산수화, 특히 겨울 숲속과 바위산의 그림을 잘 그렸다.

관 등(觀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2 페이지 / 전적]

「觀燈」― 上元(正月十五日)의 觀燈놀이를 말함. 唐 韋述의 兩京新記에 「正月望日 밤에는 金吾에 미리 勑하여 前後 各 一日通禁을 解除하고 士女들이 모여 觀燈하게 하였다」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