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관관저구(關關雎鳩)[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물가에서 화합하여 지저귀는 물수리.

관관저구(關關雎鳩)[쌍옥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꾸룩꾸룩 우는 저구. 저구는 징경이 또는 증경이 또는 원앙새. 남녀가 서로 정겹게 지내는 모양. 사랑을 구하는 모양. 시경(詩經) 관저장(關雎章).

관관저구(關關雎鳩)[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부드러운 소리로 울며 화답하는 징경이.관관(關關) : 새가 화창하게 우는 소리의 형용.저구(雎鳩) : 물수리. 암수의 사이가 좋은 새로 일컬음.

관관저구의[석천집(石川集二-二)2-2 195 페이지 / 전적]

<<시경>>에 가장 먼저 나오는 <관저(關雎> 첫구절인데, ‘구륵구륵 징경이는 / 황하 섬 속에 있고,/ 아리따운 아가씨는 / 군자의 좋은 짝일세.‘라고 이어진다. 젊은이가 아리따운 아가씨를 그리워하는 연애시이다

관광제금(觀光諸禽)[구쟉가 6 페이지 / 전적]

모든 동물들이 구경함.

관구(冠屨)[석천집(石川集二-五)2-5 116 페이지 / 전적]

관례 때에 입는 의관과 신 따위. 관구 포대(袍帶)

관국(觀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6 페이지 / 전적]

「觀國賓」―易 觀의 四爻에「觀國之光利用賓于王」이라 했는데 전에「옛날에는 賢德의 사람이 있으면 임금이 賓禮하였다. 그러므로 士가 王朝에 仕進하면 賓이라 이른다」하였음.

관군(官軍)[북쳔가 3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국가에 소속되어 있는 정규 군대.

관급(關給)[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26 페이지 / 전적]

관(官)에서 군인에게 필요한 물품을 직접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관기동정(觀其動靜) 하지 말고 진선진미(盡善盡美) 효유해서[도슈샤 6 페이지 / 전적]

그 동정만 살피지 말고 그 착함과 아름다움이 더할 나위 없도록 타일러서.

관내(官內)[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맡아 다스리는 구역 안 읍내.

관내(管內)[청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관할 구역의 안.

관내도(關內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양주(楊州)·광주(廣州)·황주(黃州)·해주(海州) 등의 29주(州) 82현(縣)을 관찰하였다.

관념(關念)하다[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관심을 두다.

관념(關念)하다[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관심을 두다.

관대(冠帶)[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관디. 옛날 벼슬아치의 공복(公服). 지금은 구식 혼례 때에 신랑이 입음.

관대(冠帶)[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관대(冠帶)[사친가(事親歌) 36 페이지 / 전적]

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관대(冠帶)[자직가(子職歌) 1 페이지 / 전적]

옛날 벼슬아치들의 공복(公服).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