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관대(寬大)[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너그럽고 큼.

관대(寬待)[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너그럽게 대접함.또는 그런 대접.

관대(寬待)[북쳔가 36 페이지 / 두루마리]

너그럽게 대접함.또는 그런 대접.

관동(冠童)[오윤가 28 페이지 / 전적]

관례를 한 사람과 관례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남자 어른과 남자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관동(關東)[관동별곡 3 페이지 / 전적]

대관령 동쪽. 강원도 지방의 총칭.

관동(關東)[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6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대관령 동쪽 지바. 즉, 강원도 지방.

관동(關東)[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우리 국토의 대관령 동쪽 지방, 곧 강원도 지방.

관동분별(冠童分別)[명륜가(明倫歌) 96 페이지 / 전적]

‘관례를 한 사람과 관례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남자 어른과 남자 아이의 구별’을 일컫는 말.

관동팔경(關東八景)[타령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관동지방,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 동해안의 여덟 명승지. 간성의 청간정(淸澗亭),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고성의 삼일포(三日浦), 삼척의 죽서루(竹西樓), 양양의 낙산사(洛山寺), 울진의 망양정(望洋亭), 통천의 총석정(叢石亭), 평해(平海)의 월송정(越松亭), 월송정 대신 흡곡(歙谷)의 시중대(侍中臺)를 넣음.

관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3 페이지 / 전적]

관대(寬大)하다. 관두는 관대의 잘못된 표기이다.

관등(觀燈)[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등불놀이. 음력 4월 8일 밤에 등불을 달고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리는 일.

관등(觀燈)[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등불놀이. 음력 4월 8일 밤에 등불을 달고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리는 일.

관등(觀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파일이나 절의 주요 행사 때에 등대를 세우고 온갖 등을 달아 불을 밝히는 일.

관등(觀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파일이나 절의 주요 행사 때에 등대를 세우고 온갖 등을 달아 불을 밝히는 일.

관등절(觀燈節)[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석가모니 탄생일인 음력 4월 8일 관등하는 명절이라 하여 이르는 말.

관등절(觀燈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등(燈)을 내어 달고 불을 켜는 명절이라는 뜻으로, 석가가 탄생한 사월 초파일을 일컫는 말.

관등절(觀燈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등(燈)을 내어 달고 불을 켜는 명절이라는 뜻으로, 석가가 탄생한 사월 초파일을 일컫는 말.

관뚜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8 페이지 / 전적]

「蓋棺事了」―사람이 죽으면 事業이 定해진다는 말임. 晋書 劉毅傳에「大丈夫 蓋棺事方定」이라 하였음.

관란정(觀瀾亭)[한양가라 35 페이지 / 전적]

충북 제천에 있는 정자.

관래일성상수록(款乃一聲山水綠)[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6 페이지 / 전적]

어여차 한 소리에 산과 물이 다 푸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